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5.11.13 15:25

내란 가담 공직자 조사, 개인 휴대전화 포렌식 논란

나경원(왼쪽 두 번째) 국민의힘 의원이 13일 국민의힘 법사위 위원들과 함께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원성훈 기자)
나경원(왼쪽 두 번째) 국민의힘 의원이 13일 국민의힘 법사위 위원들과 함께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원성훈 기자)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13일 "공무원 75만명의 휴대전화까지 탈탈털어 내란몰이 숙청을 한다. 업무용 PC와 휴대폰 카톡과 디지털자료도 검증한다고 한다"고 개탄했다. 

나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 메시지에서 "본인 동의하에 제출? 비협조시 대기발령과 직위해제 및 수사의뢰가 뒤따를 수도 있다고 한다"며 "같은 기관 동료들간의 무고와 인신공격이 난무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나 의원은 "6·25 전쟁당시 남침해 인민위원회 완장을 차고 이웃을 반동분자로 몰아 숙청하던 공산주의자들, 동포를 서로 고발하게 하며 사회를 붕괴시켰던 그 비극을 다시 보는 듯하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대장동 범죄 수뇌부, 이재명 대통령의 재판을 조속히 재개해 이 비극을 끝내야한다"고 강조했다. 

나 의원은 덧붙이는 말로 "그런데 정작 이재명 대통령 본인은 전화기 뺏기지 말라고, 비밀번호 잊어버렸다고 하면 된다고 하지 않았나"라고 비꼬았다. 

최근 정부가 내란 가담 공직자 조사 TF를 통해 공직자들의 개인 휴대전화를 포렌식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히자 논란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주도하고 이재명 대통령도 동의한 '헌법 존중 정부 혁신 TF'가 추진하고 있는 이른바 '내란 가담 공직자 조사 계획서' 얘기다. 

조사 방법으로 인터뷰와 서면조사뿐 아니라 디지털 포렌식도 활용한다고 적혀 있다. 공직자 개인 휴대전화를 자발적으로 제출하도록 유도하고, 비협조 시 대기발령 또는 직위해제 후 수사 의뢰도 고려한다고 돼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