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1.19 17:47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오늘 한국인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이슈는 무엇일까요.
한국인 사용자들이 챗 GPT에게 가장 많이 물어본 관심 주제를 정치, 경제, 사회 분야로 구분해 봤습니다. 19일, 인공지능(AI)이 선정한 오늘의 키워드를 통해 통해 빠르게 변하는 세상, 놓치기 쉬운 이슈를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김진우
정치분야에서는 김건희씨 오빠 '김진우'씨가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양평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을 받는 김진우씨의 구속 여부를 가를 법원 심사가 2시간 40분 만에 종료된데 따른 반응입이다. 결과는 이르면 이날 늦은 오후에 나올 예정입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지난 14일 김씨에 대해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국고손실, 업무상 횡령·배임, 증거인멸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특검팀은 사업 당시 양평군수였던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에게도 같은 혐의를 적용해 오는 26일 소환을 통보했습니다.
챗GPT엔 "재판부가 가장 중요하게 볼 쟁점은 뭐야?", "개발부담금 계산 과정에서 어떤 부분이 허위인지 어떻게 판단할까?", "김선교 의원 조사 결과가 사건 전체 흐름에 어떤 변화를 줄것 같아?" 등 관련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주식 장기투자 인센티브
경제분야에서는 개별주식 장기투자 인센티브가 이슈였습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날 자본시장에 오래 있거나 개별 주식에 장기 투자한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확실히 추진하겠다고 밝힌데 따른 것입니다. 구 부총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대주주보다는 소액주주에게 혜택을 주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자본시장 측면에서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를 통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향이 있다"며 "개별 주식에는 과거 장기보유 소액주주 배당소득 저율 과세, 장기 주식형 저축, 장기 집합투자증권 저축 등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용자들은 "'장기 투자 인센티브'가 소액주주 중심으로 어떻게 설계될까?", "ISA를 통한 혜택 강화가 실제로 개인 투자자의 장기 투자 확대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상속세 인적 공제 확대 논의가 이루어질 경우 어떤 계층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까?" 등 궁금한점이 많았습니다.
◆서울 지하철 파업
사회분야에서는 서울 지하철 파업이 관심권이었습니다.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의 파업 찬반 투표가 80% 안팎의 찬성률로 가결된데 따른 반응입니다. 공사 제2노조인 한국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도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실시했고, 77.97% 찬성으로 가결됐습니다. 교섭 쟁점은 임금 인상과 신규 채용 규모입니다. 1노조는 언제든 파업에 돌입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한 상황이며 2노조는 조정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챗GPT엔 "투표에서 높은 찬성률이 나온 이유가 뭐야?", "임금 인상과 신규 채용 문제에서 노사가 이견을 보이는 게 뭐야?", "1노조가 파업 돌입 권한을 확보한 상황에서 실제 파업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얼마나 돼?" 등 관련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