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1.22 09:00
당원 87% 찬성…대의원제 약화 논란 속 다음주 최종 의결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가치를 '1대 1'로 맞추는 당헌·당규 개정 의견 수렴을 마무리한 결과, 권리당원의 압도적 찬성이 확인됐다. 정청래 대표가 내세운 '당원 주권 시대' 구상이 첫 분수령을 넘긴 셈이지만, 대의원제 약화에 대한 당내 우려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에 따르면 당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권리당원 표 비율 규정(20:1 미만)을 삭제하는 '1인 1표제' 전환 안건은 찬성 86.8%, 반대 13.2%였다. 내년 지방선거 광역·기초 비례대표 후보를 권리당원 100% 투표로 선출하는 안은 찬성 88.5%, 후보가 4명 이상일 경우 예비경선을 권리당원 100%로 치르는 안은 찬성 89.6%였다. 전체 권리당원 164만5061명 가운데 27만6589명이 참여해 투표율은 16.8%였다.
박수현 당 수석대변인은 "평균 88%의 압도적 찬성은 '당원 주권 중심 정당'으로 향하겠다는 권리당원의 명확한 의지"라며 "이번 결과를 최고위·당무위·중앙위 의결 과정에서 온전히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1인 1표제 도입은 단순한 제도 조정이 아니라 당 체질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전환"이라고 평가했다.
결과 발표 직후 정 대표는 페이스북에 "당원주권정당은 이재명 대표 시절부터 추진해 온 꿈이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이어 달리고 있다"며 "더 민주적이고 투명한 경선이 더 강한 후보를 만들 것"이라고 적었다.

정 대표는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듯 당의 주인은 당원"이라며 "과거 '대의'라는 울타리에 머물렀던 구조에서 벗어나, 당원 한 사람 한 사람의 뜻이 당의 미래를 결정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참여 자격 완화 논란과 관련해선 "다양한 의견을 품어야 당이 견고해진다"며 "반대 뜻도 겸허히 새기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내부 논란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번 투표는 '최근 1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이면 참여할 수 있도록 기준이 크게 완화되면서, 일각에서는 "8·2 전당대회 이후 유입된 지지층을 투표에 포함하려는 것 아니냐"는 문제 제기가 이어져 왔다. 정 대표가 지난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표에서는 불리했지만, 권리당원 투표에서 압승하며 당선된 경험도 개편 논의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또 1인 1표제가 도입될 경우 그동안 지역별 당원 규모 편차를 보완해 온 대의원제의 역할이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대의원제는 영남·대구·경북(TK) 등 이른바 ‘험지’ 지역의 대표성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였던 만큼, "지역 편차나 조직 왜곡 문제에 대한 보완책 없이 제도를 먼저 바꾸는 건 위험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정 성향의 권리당원 표심이 당 의사 결정에 과도하게 반영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남아 있다.
민주당은 이번 의견 수렴 결과를 토대로 최고위·당무위·중앙위 절차를 거쳐 개정안을 다음 주 중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강성 당원층과 대의원 중심 조직 간 이견이 분명한 만큼, 의결 과정에서 추가 논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