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유한새 기자
  • 입력 2023.11.19 14:31

[뉴스웍스=유한새 기자] 금융감독원이 이차전지와 메타버스 등 신사업 추진을 발표해 주가를 급등시킨 뒤 주식을 대량 매도하는 등 부정거래를 한 기업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올해 반기보고서를 대상으로 실시한 신사업 추진현황 실태분석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메타버스, 가상화폐, NFT, 이차전지, 인공지능, 로봇, 신재생에너지, 코로나 등 주요 7개 테마업종을 신규 사업목적으로 추가한 상장사 233사 가운데 절반 이상(55%)인 129사가 현재까지 관련 사업 추진현황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상장사를 중심으로 이차전지, 인공지능 등 증시 이슈 테마업종을 사업목적으로 추가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올해 4월 신사업 진행경과 공시 및 허위 신사업 추진 관련 조사 강화 방안을 발표했고, 공시 후속조치로 정기보고서상 신사업 진행경과 기재를 의무화하도록 기업공시 서식을 6월 개정했다.

다만 실태조사 결과 사업 추진 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신규 사업에 진출하는 것처럼 투자자를 기망하고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의심되는 기업이 일부 발견됨에 따라 금감원이 엄정 대응하기로 했다.

실제 신사업을 발표한 뒤 추진하지 않은 129개 상장사 중 신사업 추진 발표 전후 유상증자나 CB 발행을 통해 외부 자금을 조달한 기업은 95사(74%)에 달했다. 자금 조달 횟수도 평균 4회로 상장사 전체 평균인 0.9회를 크게 상회했다. 조달 규모도 496억원으로 상장사 평균(254억원)을 크게 웃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사업 미추진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면 중점적으로 심사하겠다"며 "이상 매매 발견시 신속히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