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6.20 19:17
"북러 군사협력 약속…국제사회 책임·규범 저버린 궤변"
우크라 무기 지원 가능성 시사…한러 관계 경색될 전망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정부가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한 것에 대해 엄중한 우려를 표하고 이를 규탄했다. 더불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기존 방침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북한과 러시아가 상호 관계를 돈독히 한 가운데, 다소 불편한 상황이었던 한러 관계는 급속히 냉각될 것으로 보인다.
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2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을 열고 "6·25 전쟁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먼저 침략 전쟁을 일으킨 전력이 있는 쌍방이, 일어나지도 않은 국제사회의 선제공격을 가정해 군사협력을 약속한다는 것은 국제사회의 책임과 규범을 저버린 당사자들의 궤변이요 어불성설"이라고 밝혔다.
장 실장은 "정부는 북한의 군사력 증강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어떠한 협력도 유엔 안보리 결의의 위반이며 국제사회의 감시와 제재의 대상임을 분명히 강조한다"며 "특히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대북 제재 결의안을 주도한 러시아가 스스로 결의안을 어기고 북한을 지원함으로써 우리 안보에 위해를 가해 오는 것은 한-러 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정부는 우리의 안보를 위협하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히 대처해 나갈 것"이라며 "북한의 핵과 미사일을 무력화하기 위한 한미 동맹의 확장억제력과 한미일 안보 협력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북러 조약에 대한 대응 조치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가능성을 강력 시사했다. 장 실장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는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