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명수 기자
  • 입력 2024.07.22 13:47
일본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 광산’의 내부. (출처=사도광산 공식 홈페이지)
일본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 광산’의 내부. (출처=사도광산 공식 홈페이지)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제46차 세계유산위원회가 지난 21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막을 올렸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주목된다.

22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오는 31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회의에서 사도 광산을 포함한 신규 세계유산 등재 여부 심사가 26∼29일 진행된다. 사도 광산 등재 여부는 이번 주말 최종 결론이 난다. 

앞서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이코모스)는 지난달 6일 공개된 사도 광산 평가 결과에서 "등재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면서도 여러 지적 사항을 붙여 '보류(Refer)'를 권고했다.

보류는 미비한 부분에 대해 추가 자료 제출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자료를 보완하면 당해 또는 다음 연도에 등재될 가능성이 크다.

일본 정부는 이코모스 평가 결과가 알려진 이후 에도시대 이후 유산이 많이 남은 구역 제외, 일부 유산의 완충지역 확장, 상업 채굴 재개 금지 등 이코모스 일부 권고를 수용했다면서 여론전을 펼쳤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코모스가 "전체 역사를 현장 레벨에서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전시 전략을 책정해 시설과 설비 등을 갖추라"고 주문한 데 대해서는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일본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 광산’. (출처=사도광산 공식 홈페이지)
일본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 광산’. (출처=사도광산 공식 홈페이지)

한국 정부는 일본이 사도 광산 유산 시기를 에도시대가 중심인 16∼19세기 중반으로 한정해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외면하려 했다는 사실에 주목해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고 거듭해서 촉구해 왔다.

한편 한국과 일본은 모두 21개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이어서 심사 당일까지 '전체 역사 반영' 문제를 놓고 치열한 외교전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