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4.11.23 20:25

야스쿠니 참배 이력 일본 대표 부적격
한-일 관계 '빨간불'…외교 참사 직면

일본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 광산’의 내부. (출처=사도광산 공식 홈페이지)
일본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 광산’의 내부. (출처=사도광산 공식 홈페이지)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사도광산 추도식을 하루 앞두고 우리나라 정부가 불참을 선언했다.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 예정인 이쿠이나 야키코 외무성 정무관이 2022년 야스쿠니신사 참배한 사실이 드러났다. 우리 정부는 일본 측의 진정성이 없다는 판단에 불참을 결정한 셈이다.

23일 외교부는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당초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에 있는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개최될 추도식에 유가족 등과 함께 박철희 주일대사를 한국 대표로 참석시킬 계획이었다.

하지만 추도식 개최가 임박했음에도 일본 측이 내세운 정부 대표의 부적격 논란이 일었다.

정부는 그동안 일본 측에 정무관급 인사를 참석시킬 것을 요구해 왔다. 이에 따라 이쿠이나 정무관 참석이 결정됐지만 야스쿠니신사 참배라는 변수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결국 정부는 일본 참석 인사의 급에만 신경 쓰고 과거 이력을 살피지 못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번 추도식은 지난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사도광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때 일본이 매년 열기로 우리 측과 약속한 조치다.

일본은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물 설치를 약속했고 등재 결정이 나기 전 아이카와 향토박물관 내 '조선 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광산 노동자의 생활'이라는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그러나 전시물에 '강제 연행', '강제 동원' 등 표현이 빠져 논란을 낳았다.

결국 내일 추도사에도 '강제'라는 표현, '조선인 노동자'를 지칭하는 내용이 없다면 우리나라는 들러리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

사도광산 사태로 인해 한일 관계가 다시 냉랭해질 전망이다.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를 다시 확인하면서 내년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행사도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후 한일 관계 개선에 힘을 실어 왔지만 '대일 저자세 외교'라는 비판받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