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8.19 16:48

[뉴스웍스=채윤정 기자] 류성수 SK하이닉스 부사장이 "현재의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성능을 20~30배 높인 메모리 제품을 개발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류성수 SK하이닉스 고대역폭메모리(HBM) 비즈니스 담당 부사장은 19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에서 열린 SK 이천포럼에서 "AI 시대에 반도체 업계의 판도가 완전히 바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류 부사장은 인공지능(AI) 시대 메모리 업계 전망에 대해 "지금 잘하고 있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업체인 엔비디아가 지속적으로 주도해가거나 다른 업체가 주도하더라도 HBM과 같은 고성능 메모리와 고용량 제품은 끊임없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과거 PC와 모바일 시대를 보면 인텔이라고 하는 특정 업체를 중심으로 에코시스템이 만들어졌다"며 "나머지 업체는 전부 그들의 파운드리 역할을 하는 쪽으로 흘러왔다. 그러나 지금은 분명히 판이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류 부사장은 이어 "과거처럼 메모리 기업이 특정 업체에 연계해 따라가는 게 아니라, 스스로 스펙을 만들고 발전시켜야 하는 부분에 직면해 있다"며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SK하이닉스 내부에서도 여러 가지 방향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소수 기업의 에코시스템에 맞춰 제품을 생산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시장 선두인 엔비디아 외에도 많은 빅테크가 AI 칩 시장에 진출한 만큼 고객사의 요구사항을 충족할 만한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뜻으로 분석된다.
류 부사장은 SK하이닉스가 직면한 어려움에 대해 "거의 매일 M7(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테슬라·엔비디아·메타)과 쉬지 않고 일을 진행하고 있다"며 "그들의 요청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내부적으로, 한국 전체적으로 굉장히 많은 기술적 자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SK하이닉스도 기술적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뛰고 있지만, 여러가지 어려운 부분이 상존한다"고 밝혔다.
한편, SK는 오는 21일까지 사흘간 이천포럼을 개최하며 AI 생태계 확장과 SK그룹 고유의 경영철학인 'SKMS'의 실천력 제고 방안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20일에는 각 회사별로 따로 모여 전략을 논의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