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1.04 15:45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국토부 사고조사위원회에 독립성을 요구했다. 이를 위해 외부 인원을 국토부 관계자를 배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족대표단은 4일 성명문을 발표하고 "철저한 진상조사만이 희생자의 억울함을 달래고 유족의 상처를 치유할 지름길"이라며 "국토교통부가 이번 항공 참사가 책임자가 아닌지 의혹이 증폭되는 가운데 셀프 조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30일 사고조사에 착수했다. 조사위원장에는 전직 국토부 관료 출신이고 상임위원은 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이 맡았다.
유가족대표단은 "중립성과 독립성이 보장되는 별도 조사 기구를 설치하거나 최소한 위원장과 상임위원은 조사에서 배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조사 절차에서 유가족 의견진술권을 보장해 달라고 요구했다. 또 유가족이 추천한 전문가를 조사위원회와 조사단에 포함시켜 공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사고 수습은 마무리 절차를 밟고 있다.
사고조사위는 사고기 엔진 1기를 인양했고 4일 나머지 엔진 인양과 꼬리날개, 랜딩기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녹취록 작성도 오늘 완료 예정이다. 오는 6일 미국으로 이송할 비행기록장치(FDR)는 포장 등을 진행하고 있다.
국토부는 6개 항공사에 대한 정비 분야 특별안전점검을 오는 10일까지 진행 중이며, 발견된 문제점은 즉시 시정하고 정비인력 확충 등 개선책도 마련할 예정이다.
사고기와 동일 기종을 운영 중인 항공사는 제주항공(39대), 진에어(19대), 티웨이(27대), 이스타(10대), 대한항공(2대), 인천(4대)이다.
또 전국 공항의 활주로 주변 항행안전시설 특별점검과 항공사별 자체 안전 강화대책 이행에 대한 수시 점검도 진행하고 있다.
사망자 179명(지문 147명, DNA 32명) 전원 신원 확인도 완료됐다. 이 가운데 109명을 임시안치소에 안치 중이며, 70명을 장례식장으로 이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