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상우 기자
  • 입력 2025.03.28 12:12
뚜레쥬르 캐나다 1호점을 방문한 고객이 케이크 제품을 촬영하는 모습. (사진제공=CJ푸드빌)
뚜레쥬르 캐나다 1호점을 방문한 고객이 케이크 제품을 촬영하는 모습. (사진제공=CJ푸드빌)

[뉴스웍스=김상우 기자] CJ푸드빌이 지난해 전 사업 부문 흑자를 달성하며 4년 연속 성장했다. 국내외에서 베이커리·외식 부문 모두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영업이익은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CJ푸드빌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9092억원, 영업이익 55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7.6%, 22.7%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흑자전환에 성공한 지난 2021년 이후 4개년 연속 성장세다. 2021년과 비교하면 매출은 50% 늘고 영업이익은 10배 이상 증가한 결과다.

지난해 회사의 실적 호조는 베이커리 해외사업에 있다. 해외 각국마다 'K-베이커리'가 인기를 얻으며 CJ푸드빌의 베이커리 브랜드 '뚜레쥬르'도 주목받았다. CJ푸드빌 전체 영업이익 중 해외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에 달한다.

뚜레쥬르는 9개국 약 56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과 인도네시아, 베트남에 현지 법인을 두고 있으며, 지난해 해외법인 매출은 2116억원으로 전년 대비 420억원 증가했다. 해외법인의 영업이익 합산액은 380억원으로 전체 당기순이익의 68.3% 비중이다.

특히 미국법인은 지난 2018년 흑자전환에 성공한 이후 7년 연속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0% 증가한 1373억원이며, 영업이익은 238억원으로 전년 58억원 대비 310.3% 폭증했다.

뚜레쥬르는 미국 LA,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주 등 27개 주(州)에서 핵심 상권을 중심으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지난해말 150호점을 돌파하며 가맹점 출점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오는 2030년까지 미국 내 1000개 매장 확보를 목표로 삼고 있다. 연내 완공을 목표로 한 미국 조지아주 생산공장이 가동되면 연간 1억개 이상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아시아지역에서는 인도네시아와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 진출 지역을 넓혀가며 매장 수가 늘고 있다.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해 매출 49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2.5% 증가했다. 2022년 흑자전환 이후 3년 연속 성장세로, 뚜레쥬르 매장 70여 개를 확보하고 있다.

CJ푸드빌 뚜레쥬르는 지난해 '더CJ컵'을 통해 미국 전역에 'K-베이커리'를 전파했다. (사진제공=CJ푸드빌)
CJ푸드빌 뚜레쥬르는 지난해 '더CJ컵'을 통해 미국 전역에 'K-베이커리'를 전파했다. (사진제공=CJ푸드빌)

CJ푸드빌은 2019년 인도네시아 브카시 지역에 생산공장을 가동하고 국내 베이커리 업계 최초로 할랄 인증을 획득했다. 생산 인프라를 확보하면서 인근 국가인 말레이시아, 싱가폴 등 매장을 확대하고 있다.

외식사업도 '빕스'를 중심으로 주요 거점 상권에 전략적인 출점을 통해 수익성 개선이 두드러졌다. 외식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매출이 7.8% 증가했다. 빕스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전략과 차별화된 매장 콘셉트가 성장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빕스는 매장 인테리어 고급화와 계절마다 새로운 콘셉트의 신메뉴를 출시하고 있다. 여기에 무제한 즐길 수 있는 '와인&페어링존' 등의 서비스도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는 수도권 거점 도시를 중심으로 신규 매장 출점이 이어졌다. 점포 평균 매출은 2023년과 지난해를 비교했을 때 약 35% 증가했다.

CJ푸드빌 관계자는 "K-베이커리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해외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며 "지금의 사업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식음료(F&B)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