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3.29 12:30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13일 전북대학교를 방문해 총장, 의대학장 등 대학관계자와 간담회를 열고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독려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사진제공=교육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13일 전북대학교를 방문해 총장, 의대학장 등 대학관계자와 간담회를 열고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독려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사진제공=교육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교육부가 제시한 의대생 복귀 마감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고려대 등 상당수 대학이 당초 계획보다 등록 시한을 연장하며 미복귀 학생들에 대한 막판 구제에 나섰다.

의대 소속이 아닌 대학생들은 "이는 학사 운영의 형평성이 크게 훼손됐다"며 강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한 대학에서는 '국민 청원' 등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겠다는 학생도 나왔다.

29일 대학가에 따르면 고려대는 복학원을 작성하고 수업에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31일까지 등록을 연장하기로 했다. 미등록·미복학 학생은 29일 제적될 방침이었는데, 복귀 학생을 늘리기 위해 학교가 당초 계획을 변경한 것이다.

고려대뿐 아니라 각 대학이 시한 연장을 거듭하고 있다. 연세대도 당초 계획과 달리 등록 기한보다 늦게 복귀를 선택한 학생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울산대는 이날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기로 했지만, 학생 전원이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발송을 보류했다, 

의대생에 대한 대학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던 대학생들은 등록 연장이 결정되자 불쾌감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의대생들에 대한 대학의 특혜를 눈감아줬는데, 제적 원칙마저 훼손하는 건 '선을 넘었다'고 강조하고 있다. 

연세대 소속의 한 학생은 학내 커뮤니티에 "왜 일반 학생은 제적 통보를 받으면 등록할 수 없는데 의대생은 허가를 해 주느냐"며 "미등록자들 제적, 휴학 남용 등을 골자로 한 국민 청원을 올리겠다"는 글을 게시했다. 

학생들은 "이는 학교가 자신이 만든 규정을 무시하면서 학생을 입시 결과에 따라 차별해도 된다는 걸 보여줬다"고 이에 호응했다. 

또 의대생에게 "정당한 휴학 사유라고 주장하면서 등록 기간이 지난 후 등록해달라고 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며 비판했다. 

서울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은 "정부가 의료계와 충분히 소통하지 않고 의대 증원을 밀어붙인 탓도 있으나 1년간의 파행으로 이제 의대생들을 지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 "여기서 끊고 가지 않으면 의료 환경이 더 망가질 것 같다. 대학이 더 단호하게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의대생들은 또 "휴학을 반려한 것부터 차별", "분탕"이라며 날 선 반응을 내놓고 있다. 또 기한에 맞춰 등록한 의대생을 향해 "단일 대오를 망쳤다", "배신자"라며 비난하고 있다. 

교육부·대학과 학생 간 갈등이 일반대생과 의대생, 의대생 간 내분으로도 번지는 조짐이 강화되고 있다. 학내 갈등에 대한 우려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수도권 의대에 다니는 한 학생은 "현재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센 말이 오가고 있어 걱정"이라며 "화를 가라앉히고 차분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수도권 의대 교수는 "등록 학생과 복귀 거부 투쟁을 하는 학생 간 갈등이 제일 걱정"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