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현준 기자
  • 입력 2025.04.01 14:21

선고 당일 전국 '갑호비상' 발령…서울 1.4만 집중 배치
방검복·방검장갑 등 무장…격화 시 캡사이신 사용 불사

헌법재판소 전경. (사진=박광하 기자)
헌법재판소 전경. (사진=박광하 기자)

[뉴스웍스=정현준 기자]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오는 4일로 지정한 가운데, 경찰이 1일부터 헌재 반경 100m 이내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초강도 경비 태세에 돌입했다. 과격·폭력 집회 격화를 우려해 유혈 사태까지 고려한 경비 계획 보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경찰에 따르면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당일인 4일에는 전국 경찰에 최고 비상령인 '갑호비상'이 발령된다. 이는 가용 경찰력을 100%까지 동원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하루 전인 3일에는 서울경찰청에 '을호비상'이, 나머지 경찰청은 병호비상을 발령한다.

경찰은 전국 338개 기동대 2만여 명을 투입한다. 특히 헌재가 있는 서울의 경우 210개 부대 약 1만4000명이 집중 배치된다. 형사들은 헌재 진입 시도를 현행범으로 체포하고, 경찰특공대는 대규모 폭력 사태 발생 시 투입된다.

서울 도심에서는 탄핵 찬반 집회가 헌재 인근에서 동시에 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찰은 안국역 일대를 중심으로 차벽을 설치해 시위대를 분리하고 ‘완충지대’를 조성할 방침이다. 반대 집회는 삼일대로 인근, 찬성 집회는 경복궁역~동십자각 구간 율곡로 일대에서 각각 진행된다. 광화문 사거리 일대에서도 반대 집회가 열릴 가능성에 대비해, 세종대왕상을 중심으로 주한 미국대사관과 세종로공원 사이에도 차벽과 경찰 병력이 배치된다.

기동대원들은 방검복·방검장갑 착용, 캡사이신 분사기 및 120cm 장봉 등으로 무장하고 현장에 투입된다. 경찰은 상황이 격화될 경우,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처럼 캡사이신 사용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헌재 외곽에는 이미 철조망이 설치됐으며, 경찰 차량과 펜스도 보강된 상태다. 경찰은 특히 헌재 인근에서 가장 격렬한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반경 100m 이내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할 계획이다. 서울 전역도 8개 권역으로 나뉘어 '특별범죄예방 강화구역'으로 지정돼 대비에 나선다.

이와 함께 헌법재판관에 대한 신변 보호도 대폭 강화되고 있다. 최근 윤 대통령 지지자와 일부 유튜버들이 정계선 재판관의 자택 주소를 공유하고 실제 방문해 위협하는 등 위험 수위가 높아지자, 경찰은 헌재 재판관 전원에게 전담 경호 인력을 배치하고 자택 주변 112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전날(31일) 정례브리핑에서 "자세한 내용이나 몇 명이나 (추가 배치되는지)는 신변 보호·경호 문제라 말씀드릴 순 없지만 그런 문제가 없도록 자택, 헌재 주변까지 신변 보호를 철저히 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경찰은 이번 경비 계획이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벌어졌던 경찰 버스 탈취, 헌재 난입 시도, 사망자 4명 발생 등의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당시 시위에서는 경찰과 취재진, 시민들이 다수 폭행당했으며, 최근 서부지법 난동 사태에서도 51명이 부상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