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상우 기자
  • 입력 2025.04.02 18:38
지난달 31일 굽네치킨 가맹점주들이 가맹본부의 '갑질'을 규탄하며 서울시 강서구 지앤푸드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굽네치킨가맹점주협의회)
지난달 31일 굽네치킨 가맹점주들이 가맹본부의 '갑질'을 규탄하며 서울시 강서구 지앤푸드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굽네치킨가맹점주협의회)

[뉴스웍스=김상우 기자] 국내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주와의 갈등이 '연례행사'처럼 빈번해지고 있다. 가맹점주들은 예년보다 못한 매출과 본사 지원 미비에 불만이 높아지고 있으며, 본사 또한 수익성 증대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가맹점들의 불만을 애써 외면하는 실정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굽네치킨가맹점주협의회는 서울 강서구 굽네치킨 본사 앞에서 일방적 분쟁조정거부 규탄 및 불공정행위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협의회는 ▲모바일상품권 수수료 전액과 및 모바일 기프티콘 상품권 인상 비용의 가맹점 떠넘기기 ▲계육 부분육 공급 가격제 일방적 변경 ▲무분별한 근접출점 ▲가맹본부의 일방적 분쟁조정 거부 등을 거론하며 본사의 불공정행위를 규탄했다.

특히 협의회는 치킨 원재료인 계육 부분육의 공급가를 고정가에서 변동가로 바꿀 때, 본부가 가맹점들과의 협의 없이 마음대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올해 400곳의 신규 가맹점을 추가 출점하는 계획도 기존 가맹점 매출을 크게 떨어뜨리는 처사라며 본사가 가맹점 생존에 위협을 주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굽네치킨 운영사인 지앤푸드는 모바일상품권 수수료 문제를 두고 본사의 영업이익이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계육 공급가 변동제는 지난 2022년 원료 가격 폭등 시 가맹점과 협의과정을 통해 도출한 계획이라며 가맹점주들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항변했다. 또한 신규 가맹점 출점은 기존 점포의 영업권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진행 중이며, 올해 400개 출점은 거짓이라고 반박했다.

지앤푸드는 지난해 실적을 이달 중 공개할 예정이지만, 실적 반등이 쉽지 않다는 관측이다. 최근 3개년 지앤푸드의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2021년 186억원, 2022년 116억원, 2023년 83억원으로 하향세가 뚜렷하다. 가맹점 수도 2022년 1124곳에서 2023년 1118곳으로 줄고 있다.

교촌에프앤비 판교 사옥 전경. (사진제공=교촌에프앤비)
교촌에프앤비 판교 사옥 전경. (사진제공=교촌에프앤비)

치킨 프랜차이즈 갈등은 굽네치킨에 국한하지 않는다. 올해 2월 교촌치킨 운영사인 교촌에프앤비도 가맹점주들에게 격한 항의를 받았다. 가맹점주들은 본사에 닭 30㎏을 요구하면 10㎏만 보내주고 있어 장사를 못 하는 실정이라며 개선을 요구했다. 치킨 프랜차이즈가 닭이 없어 치킨을 팔지 못하는 웃지 못할 상황으로, 본사의 열악한 식자재 유통 시스템이 드러난 결과다.

또한 지난 1월 교촌치킨 가맹점주 200여 명은 본사에게 차액가맹금 반환을 요구하는 부당이득금 반환 소송도 제기한 바 있다. 차액가맹금은 본사가 가맹점에 원·부자재를 공급하면서 붙이는 마진을 말한다.

한때 폐점률 0%를 자랑했던 교촌치킨은 지난해만 28곳이 폐점했다. 최근 3개년 별도기준으로 본사의 영업이익은 2022년 28억원, 2023년 240억원, 지난해 158억원으로 들쑥날쑥하다. 교촌에프앤비는 외식업계에서 더본코리아와 함께 주식시장에 상장된 터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한 신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다만, 국내 가맹사업 매출이 전체 매출 93%를 차지할 정도로 신성장동력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에서는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들과 가맹점주들의 갈등은 외식 프랜차이즈 전체로 봐도 매우 빈번한 수준이라며, 본사 차원의 개선 노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외식 경기가 극도로 얼어붙은 현 시점에서 본사가 이전처럼 수익 중심의 경영을 이어가는 것은 오판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외식 자영업자들의 고통이 극도로 커지는 상황이지만, 대다수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는 여전히 수익성 확대에 급급하다"며 “지금은 본사 수익보다 가맹점들을 어떻게 살릴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가맹점주들이 개선을 호소한 배달수수료 문제만 해도 본사가 손해를 보기 싫어 이렇다 할 대응을 못 하고 있다"며 "이중가격제와 같은 '꼼수'를 생각할 것이 아닌, 전체를 살릴 수 있는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자영업자 수는 550만명으로 집계돼 지난해 11월 570만여명보다 두 달여 만에 약 20만명이 줄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한창이었던 1998년 561만명보다 적은 숫자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는 600만명 수준이었다.

자영업자의 급격한 감소는 수익 저하가 주된 이유로 꼽힌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자영업자 50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자영업자는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 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부담이 크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절반 이상인 72%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