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안광석 기자
  • 입력 2025.04.04 12:56

尹 파면 선고에 '망연자실'…흐느끼는 지지자도 속출

4일 서울 헌법재판소 인근 삼일대로에 모인 1000여 명의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반대를 외치고 있다. (사진=안광석 기자)
4일 서울 헌법재판소 인근 삼일대로에 모인 1000여 명의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반대를 외치고 있다. (사진=안광석 기자)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여부를 결정할 4일 오전 10시께 서울 율곡로 운현초등학교 앞 삼일대로.

이른 시각임에도 윤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지지자들이 손에 태극기와 성조기, 확성기를 들고 하나둘씩 모이기 시작했다. 이들은 경찰의 바리케이트 앞에 진을 치고 윤 대통령 탄핵 반대 구호를 목청껏 외치기 시작했다.

간간이 바리케이트를 뚫고 갈 길 가려는 시민들을 경찰들이 제지하는 모습도 보였다. 앞서 경찰은 헌법재판소 반경 150m 지역을 모두 봉쇄했다.

4일 서울 헌법재판소 인근 삼일대로에 걸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현수막. (사진=안광석 기자)
4일 서울 헌법재판소 인근 삼일대로에 걸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현수막. (사진=안광석 기자)

대통령 탄핵 여부를 결정하는 11시가 가까워오자 삼일대로 임시 광장에는 1000여 명의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운집했다.

서울 강서구 화곡동에 거주한다는 오모(72) 씨는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려 했던 대통령이 오명을 씻고 시민들과 함께 하는 역사적인 순간에 동참하고 싶어 왔다"고 말했다.

커플이 같이 왔다는 최모(34) 씨는 "4대 4 탄핵 기각을 자신한다"며 "거대 야당의 입법 독재를 맞서고자 했을 뿐이고, (계엄 당시) 물리적 충돌 없이 철회하지 않았느냐"고 했다. 이 과정에서 지나가던 한 지지자는 "탄핵이 인용돼 이 땅이 중국에 넘어가서는 안 된다"는 다소 황당무계한 고함을 지르기도 했다.

4일 서울 종로 파고다 공원 인근에 모인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반대를 외치고 있다. (사진=안광석 기자)
4일 서울 종로 파고다 공원 인근에 모인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반대를 외치고 있다. (사진=안광석 기자)

하지만 오전 11시가 되면서 확성기를 통해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선고 소리가 들리자 분위기는 점차 가라앉기 시작했다.

주위가 삽시간에 고요해진 가운데 문 권한대행이 비상계엄 포고령 발령에 대해 "영장주의를 위반하고 국민의 정치적 기본권과 단체행동권, 직업의 자유를 침해했다"라는 대목에 이르자, 지지자들의 손에 들린 태극기와 성조기가 점점 내려가기 시작했다. 지지자들 일부는 고개를 떨궜다.

결국 문 권한대행의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라는 선고가 떨어졌다.

4일 서울 헌법재판소 인근 삼일대로에 모인 1000여 명의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인용 선고를 듣고 망연자실하고 있다. (사진=안광석 기자)
4일 서울 헌법재판소 인근 삼일대로에 모인 1000여 명의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인용 선고를 듣고 망연자실하고 있다. (사진=안광석 기자)

주위에서는 "이 땅의 민주주의가 죽었다", "헌재 해산하라", "이 빨갱이들아", "부정선거 조사하고, 이재명 대표 구속해라" 등등 듣기 거북한 어지러운 욕설과 탄식이 쏟아졌다.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그 자리에 주저 앉아 고개를 무릎 사이에 묻고 흐느끼는 모습을 보였다.

탄핵 선고 직후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대부분의 지지자들은 인터뷰 요청을 거절했다.

일부 지지자는 기자에게 "몇 대 몇이냐. 잘못 들은 것 아니냐"며 현실을 부정했다. 일부 감정이 격해진 지지자들은 눈물을 머금고 "이게 지금 재밌냐"면서 항의하기도 했다.

4일 서울 헌법재판소 인근 삼일대로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선고 직후 불복한 대통령 지지자들이 경찰을 상대로 고함을 지르고 있다. (사진=안광석 기자)
4일 서울 헌법재판소 인근 삼일대로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선고 직후 불복한 대통령 지지자들이 경찰을 상대로 고함을 지르고 있다. (사진=안광석 기자)

삼일대로에 운집했던 윤 대통령 지지자 절반가량은 선고 직후 뿔뿔이 해산했다. 나머지 지지자들은 헌재를 향하기 위해 경찰과 대치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