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민서 기자
  • 입력 2025.04.12 17:36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자동차 부품 관세 대응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사진=뉴스1)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자동차 부품 관세 대응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김동연 경기지사가 더불어민주당의 대선후보 경선 방식이 불합리하다며 기존의 방식을 고수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때부터 이어온 전통의 경선 방식을 합리적 이유 없이 뜯어고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이재명 후보가 입장을 밝히길 촉구했다.

12일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당원 50%에 일반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겠다며 기존의 룰을 폐기하고 새로운 룰을 제정해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에 김 지사 측은 입장문을 내고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민주당은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방식으로 대선 후보를 선출했다. 비명(비이재명)계는 이재명 예비후보가 사실상 당권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요구한 바 있다. 당원 비율이 최대 50%까지 확대되는 국민참여경선은 당 대표를 연임해 권리당원 다수의 절대적 지지를 받는 이재명 예비후보의 독주가 예상된다. 

김 지사 측은 "노무현 대통령이 선출되던 16대 대선 경선 때부터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됐던 지난 20대 대선 경선 때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며 "이번 결정은 이런 민주당 경선의 역사와 원칙을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국민선거인단을 처음 시작한 이유는 당원이 아니더라도 국민이 직접 후보를 선출해 중도성과 대표성을 부여해 본선에서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국민경선을 포기하는 것은 국민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누가 더 유리하겠다라는 것이 뻔히 보이는 룰은 공정한 룰이 아니기에, 민주당 대선 후보는 공정한 경선 룰을 통해 선출돼야 한다"며 특별당규준비위는 이번 대선 경선 방식을 재고하고, 이재명 예비후보는 국민선거인단 경선을 없애는 것에 대한 입장을 밝혀달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