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4.28 13:23

"자동차·철강 관세 '매우 고통'…상호 윈윈 해결책 찾을 것"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충돌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한 대행은 지난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영국 언론사 이코노미스트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대응, 안보 정책 방향 등에 대해 인터뷰했다. 이코노미스트는 28일 이를 공개했다.

한 대행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안보 등 원스톱 협상 요구에 대해 "미국과의 협력적 협상을 통해 상호 윈윈하는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국 제품 전체에 대해 25% '상호관세'를 발표했다가 90일간 유예한 대해서는 '충격 요법'이라고 표현하며, 자동차 및 철강 관세로 인한 피해 상황에 대해 "매우 고통스럽다"고 언급했다. 미국과의 거래 방안과 관련해서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비관세 장벽에 대한 불만에는 "개선할 수 있는 몇가지 지점이 있다"며 한국의 고정밀 지도 데이터 수출 제한으로 인한 구글 지도의 제약을 예시로 거론했다. 주한미군 철수 언급에 대해서는 "미군의 주둔은 우리에게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 대행은 "한국은 어떤 문제든 '비충돌적인 방안'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에 참석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의시작에 앞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안덕근(왼쪽부터) 장관, 최상목 부총리,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에 참석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의시작에 앞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안덕근(왼쪽부터) 장관, 최상목 부총리,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사진제공=기획재정부)

한편 이번 인터뷰는 한미 양국 간 '2+2 통상협의'가 열리기 전에 진행됐다.

앞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우리시간으로 지난 24일 오후 9시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미국 재무부 청사에서 1시간 8분간 '2+2 통상협의'를 진행했다.

우리 정부는 이번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철폐하는 것에 최우선의 목표를 뒀다. 특히 품목별 관세 중에서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 인하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

협의 후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오늘 매우 성공적으로 회의를 진행했다"며 "한국 측이 '최상의 안'을 가져왔다. 다음 주 초 합의에 이르면 기술 세칙에 대해 협의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도 전날 귀국자리에서 "협의 과제를 명확히 했다. 논의 일정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향후 협의의 기본 틀을 마련했으며, 국의 정치 일정 등을 충분히 설명했다"며 "불확실성을 줄이고 질서 있는 협의의 물꼬를 텄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