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5.06.06 11:40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제공=하나은행)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제공=하나은행)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미국이 우리나라를 환율 관찰 대상국으로 재지정했다. 한국과 미국이 관세 협상과 맞물려 환율에 대한 논의까지 거론된 상황에서 관찰 대상국 재지정은 압박의 강도를 높인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미국 재무부가 5일(현지시간) 의회에 보고한 '주요 교역 대상국의 거시경제 및 환율 정책'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중국·일본·싱가포르·대만·베트남·독일·아일랜드·스위스 등과 함께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관찰국 지정 기준은 ▲대미 상품 및 서비스 무역흑자 150억달러 이상 ▲국내총생산(GDP)의 3% 이상의 경상수지 흑자 ▲GDP의 2% 이상 및 8개월 이상 미 달러 순매수 등 외환시장 개입 등으로, 우리나라는 대미 무역 흑자와 경상수지 흑자 기준에 해당됐다.

미 재무부는 한국 금융당국이 원화가 평가절하 압력을 받자 2024년 4월과 2024년 12월에 외환시장에 개입했다면서, 같은 해 GDP의 0.6%에 해당하는 112억달러를 순매도했다고 보고서에 기재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6년부터 7년간 환율관찰 대상국에 올랐으나, 2023년 11월과 2024년 6월 2회 연속 명단에서 빠졌다. 그러다가 트럼프 정부 출범 직전인 지난해 11월 다시 목록에 다시 등재된 것이다.

6일 기획재정부는 "미국 재무부와의 상시적인 소통을 통해 환율 정책에 대한 상호 이해와 신뢰를 확대하겠다"며 "현재 진행 중인 한미 재무당국 간 환율분야 협의도 면밀하게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 재무부는 올 하반기에 예정된 다음 환율보고서부터 각국의 통화(환율)정책과 관행에 대한 분석을 강화하기 위해 점검 항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기준 외에도 거시건전성 조치, 자본 유출입 조치, 연기금·국부펀드 등 정부 투자기관을 활용한 경쟁적 평가 절하 여부 등이 분석 추가 대상이 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