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6.12 16:33

"가용한 정책수단 총망라해 대책 검토"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12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제17차 부동산 시장 및 공급상황 점검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12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제17차 부동산 시장 및 공급상황 점검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제1차관은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재부·국토교통부·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부동산 시장 점검 TF를 주재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최근 부동산시장 상황과 가계대출 추이 등을 점검하고, 서울 부동산 시장 상황이 엄중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2주(9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0.23% 올랐다. 19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의 경우 일부 단지에서 매수 관망세 지속되고 있으나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선호단지 위주로 매도 희망가격이 오르고, 상승 거래 체결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최근 주택거래가 늘면서 가계대출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정책모기지론을 포함한 은행 가계대출은 5조2000억원 늘었다. 제2금융권을 더한 가계대출은 5월 중 6조원 늘었다. 가계대출은 1월 감소 후 지속 증가 중이다. 

5월 중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4조2000억원 증가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파로 2~3월 중 늘어난 주택거래의 영향으로 전달(3조7000억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이 대행은 "국민 주거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실수요자 보호 원칙 아래 투기·시장교란 행위나 심리 불안으로 인한 가수요 등이 시장 안정을 저해하지 않도록 각 부처의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망라해 검토하고 실수요자 보호, 서민 주거안정 등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