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5.07.06 14:00

"美 감세안, 제조업·IT에 우호적"…유통·식료품 관련株 '주목'

4일 종가 기준 한국거래소 전광판. (사진=박성민 기자)
4일 종가 기준 한국거래소 전광판. (사진=박성민 기자)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이번 주 코스피는 주주의 충실 의무를 골자로 한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자 연고점을 경신한 뒤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결국 제자리걸음을 했다. 

증권가는 신정부 출범 이후 꾸준히 이어진 '허니문 랠리'가 어느 정도 잦아들었음에도, 내수 부양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큰 만큼 유통이나 음식료 등 내수주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번 주 코스피는 전주(3055.94)보다 1.16포인트(-0.05%) 하락한 3054.28에 마감했다. 지난 3일에는 3116.27포인트까지 치솟아 종가 기준 연고점을 새로 작성했다. 

이번주 코스닥은 전주(781.56) 대비 5.76포인트(-0.73%) 밀린 775.80에 거래를 마감했다.  

투자자별로 보면 이번 주 코스피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132억원, 4017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홀로 6281억원을 순매도했다. 

종목별로 보면 새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의 국회 통과를 앞두고 내수 부양 기대감에 유통, 음식료 등 내수주 주가가 상승 곡선을 그렸다. 이는 추경안에 포함된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6000억원의 지역사랑상품권 지원으로 소비 진작 및 결제 활성화 효과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난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6회국회(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3%룰 보완·집중투표제 제외' 내용을 담은 상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이 재적 298인, 재석 272인, 찬성 220인, 반대 29인, 기권 23인으로 통과되고 있다. (사진=뉴스1)
지난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6회국회(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3%룰 보완·집중투표제 제외' 내용을 담은 상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이 재적 298인, 재석 272인, 찬성 220인, 반대 29인, 기권 23인으로 통과되고 있다. (사진=뉴스1)

NH투자증권은 다음 주 코스피 예상밴드로 2950~3180선을 제시했다. 

코스피 상승 요인으로는 신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과 미국 감세안(OBBB) 효과를 들 수 있다. 반대로 하락 요인으로는 미국과의 상호 관세 협상 여부와 단기 차익 실현 가능성을 꼽을 수 있다. 

앞서 국회는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에 주주를 추가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상법 개정안에는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명시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의 전자주총 의무화 ▲감사위원 선임 시 최대주주 의결권 3% 제한(3%룰)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배당분리과세, 상속세법 개정안 등을 통해 주주 가치를 강화, 한국 주식 디스카운트 요인을 해소시킨다는 점에서 2023년 일본의 밸류업 프로그램의 결과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곧 글로벌 투자자가 한국에 주목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도널드 트럼프 공식 홈페이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도널드 트럼프 공식 홈페이지)

한편 트럼프가 추진 중인 미국 감세법안은 하원 본회의 표결을 앞둔 상황이다. 

나 연구원은 "OBBB 법안은 2017 TCJA처럼 법인세를 직접 인하하지는 않지만, 기업이 미국 내에서 투자하는 연구개발(R&D) 비용에 대해 세액 공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며 "이는 제조업이나 IT 신기술, 제약 등 자본집약적 산업에 우호적"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하반기에 초과근무 수당 및 팁과세 완화로 미국 소비가 확대되고, 미 제조업 기업의 투자가 글로벌 제조업 경기를 활성화시킨다는 점에서 미국용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수출 기업 실적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다음 주 관심을 두어야 할 업종으로 ▲중소형 지주 ▲AI ▲화장품 ▲제약·바이오 ▲유통 ▲증권 등을 꼽았다. 

나 연구원은 다음 주 투자 전략에 대해 "한국 신정부 정책 기대감에 현재 주식 시장에 대기하는 자금은 풍부한 상황"이라며 "또한 2차 추경안 등 신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은 유동성 공급 정책이며, 유동성 확대 정책은 결국 주가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적 뒷받침이 있는 업종의 경우, 주가 조정 이후 정책이 가시화되면서 순매수 자금이 유입된 바 있다는 점에서 정책 모멘텀이 존재하는 업종에 비중 확대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