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7.10 11:55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한미 통상문제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지난 4일 미국을 방문했던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일정을 마무리하고 9일(현지시간) 귀국길에 올라 10일 오후 귀국한다.
트럼프 행정부가 당초 7월 9일부터 부과하겠다고 했던 25% 상호관세의 발효를 오는 8월 1일로 3주 가량 연기함에 따라 협상시간을 확보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여 본부장을 중심으로 한 방미 협상단이 그동안 협의과정에서 파악한 미국의 정확한 입장을 분석한 뒤 미국과 재 협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전날(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재차 면담을 갖고 미측의 관세조치 해소방안과 제조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여 본부장은 앞서 지난 5일 워싱턴DC에 도착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를 만난데 이어 미국이 한국을 포함한 14개국에 보낸 상호관세 서한 발표 직후인 7일에도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면담을 가진 바 있다.
여 본부장은 특히 제조업 협력이 빠르게 구체화하고 성공적으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자동차·철강 등에 부과된 품목별 관세의 철폐 또는 완화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이번 면담에서 강조했다.
미국이 다음달 1일까지 협상 가능성을 열어 뒀지만 귀국길에 오른 정부의 셈법은 더 복잡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관세가 한국의 오랜 관세, 비관세, 정책, 무역 장벽으로 인해 발생한 지속 불가능한 무역 적자를 바로잡기 위한 조치라는 점을 이해해주시기를 바란다"고 적시했다. 이어 백악관 내각 회의에서는 주한미군 주둔비용 증액까지 공개적으로 요구하면서 한국을 더 압박하고 있다.
다만 여본부장을 중심으로 한 협상단이 이번 방미기간 중 세부적인 내용은 아니더라도 굵직한 큰 틀의 요구사항들은 미국측과 대면과정에서 파악했을 것으로 사료돼 귀국 후 국내에서 충분한 조율과정을 거쳐 다시 협상에 임할 것으로 보인다.
여 본부장은 앞서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는 것도 지금의 협상 구도에서는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대면 정상회담 일정도 재협상 과정에서 중요한 변수로 꼽히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