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6.24 12:59
여한구 본부장(왼쪽)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회동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부)
여한구 본부장(왼쪽)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회동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부)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한국 내 정국혼란으로 논의 진전이 주춤했던 한·미 관세협상이 속도를 내고 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취임 이후 처음 워싱턴 DC를 방문해 지난 23일 오후 4시(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동시에 첫 협의를 가졌다. 이는 이재명 정부 들어 첫 한미 고위급 통상 협상이다.

이번 면담에서 여 본부장은 한국에 대한 미국의 25% 상호관세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 관세에 대한 면제의 중요성을 미측에 다시 강조했고, 한·미 양측은 조속한 시일 내에 상호호혜적 합의를 도출하자는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산업통상자원부는 전했다.

여 본부장은 이와함께 최근 미국의 수출통제 정책 동향과 관련해 한국 업계의 관심 사항도 함께 전달했다.

이번 방미 기간 중 고위급 협상과 함께 24∼26일 일정으로 제3차 한미 기술협의(technical discussions)도 함께 진행된다. 이번 기술협의에서 한국은 여 본부장 취임 직후 범부처 규모로 확대·개편한 '대미 협상 태스크포스(TF)'를 통해 그간 제기된 쟁점을 중심으로 양측의 수용 가능한 대안을 집중 협의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열린 1·2차 실무 기술협의에서는 양측이 균형 무역, 비관세 조치, 경제 안보 등 분야를 중심으로 협의를 진행했다. 미측은 자국 상품 구매 확대를 통한 무역 균형 추구와 더불어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제한부터 구글 정밀 지도 반출에 이르는 다양한 '비관세 장벽' 문제 해결을 우리 측에 구체적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 본부장은 "한국과 미국은 산업 공급망이 긴밀하게 연계돼 있어 상호협력을 필요로 한다"며  "향후 속도감 있게 미측과 협상을 집중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 정부 출범 이전에 한·미 통상 당국은 관세 문제 등과 관련해 7월 8일까지 '포괄 합의'를 도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