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04 18:18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양대 노총 위원장을 만나 "신뢰 구축을 위한 대화와 소통이 중요하다"며 "정례적이고 상시적인 사회적 대화를 활성화하자"고 제안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연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오늘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과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을 초청해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가졌다"며 이 대통령이 이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취임 후 처음으로 노동계를 대표하는 양대 노총 위원장들과 공식적으로 만난 이 대통령은 "노동 선진 사회와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양립할 수 있다"면서 "노사가 만나 대화를 하는 게 중요하다"고 여러 번 강조했다. 이어 "민주노총이 중요한 결단을 했다"면서 국회가 주도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에 참여한 것을 환영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갈등 해소와 신뢰 구축의 첫 출발은 함께 마주 앉아 대화하는 것"이라면서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도 함께 하자"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양대 노총 위원장에게 "모든 것은 대화에서 시작해야 되고, 대화를 하는 것 자체가 이 위원회의 목적"이라며 "과거 목적 혹은 도달해야 될 달성 값이 있는 위원회가 많았다면 그냥 대화를 하자는 위원회"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사가 만나고 정부가 만나서 대화를 하자는 것"이라며 "대화의 창구로 활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관련 강 대변인은 "(양대 노총 위원장으로부터) '긍정적 검토를 좀 해보겠다'는 답을 어느 정도 얻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양대 노총 위원장은 주 4.5일제 도입, 정년연장, 5인 미만 사업장의 근로기준법 적용 등 노동계의 관심 현안도 전했다.
한편, 이 대통령과 양대 노총 위원장은 주요 노동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며 진솔한 소통과 협력 의지도 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산재 사망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노동계의 의견을 물었고, 참석자들은 "현장 노동자들이 예방의 주체가 될 수 있게 실질적인 권한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이 대통령은 AI와 같은 첨단 기술을 맞이하게 된 상황에서 노동자들의 기술적 기술 적응력과 적용력을 높여 대응할 필요성과 공공교육의 역할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