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13 11:01
대미 수출 18.59% 감소 시 손실 7.23억 달러 예상
지역 총생산 2조4400억원 축소·고용 3657명 감소 전망…지방재정도 휘청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최근 미국과의 관세협상이 또다시 위기에 봉착하면서 국내 경제계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광주·전남 자동차산업은 막대한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수출·생산·고용 충격이 지역경제 전반은 물론 지방재정과 산업 생태계까지 확산될 것으로 분석된다.
광주 경제계에 따르면, 광주·전남의 자동차 관련 사업체는 686개로 지역 제조업의 5.9%를 차지한다. 종사자 수는 2만1573명(제조업 고용의 24.7%), 매출액은 17조932억원(제조업 매출의 44.1%)이다. 대미 수출 규모는 51.4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33.1%에 이른다.
기아 오토랜드 광주는 지난해 51만3000대를 생산했으며 이 중 65%(33만2000대)가 수출 물량이다. 대미 수출은 18만대(수출의 55%)로, 주요 차종은 스포티지·셀토스·쏘울이다. 광주글로벌모터스(GGM)는 같은 해 캐스퍼 5만3000대를 생산해 누적 생산 20만대를 돌파했다. 현재 682명이 근무하며 중장기적으로 2000명까지 고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부품업체 생태계는 1차 협력사 24개사, 1·2차 합산 300여 개사, 종사자 약 1만5000명 규모다. 2023년 기준 1차 협력사 237개사의 매출은 90조2970억원, 생산유발효과 237조8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55조6000억원, 고용유발효과 60만명으로 추산된다. 대미 수출이 18.59% 줄어들면 손실액은 7.23억 달러로 예상된다. 현대·기아의 월간 관세 부담 5380억원의 (추가)15%인 약 807억원이 추가 비용으로 발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생산 차질도 불가피하다. 기아 광주공장은 7만6950대, GGM은 7950대 등 총 8만4900대(15%)가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고용 측면에서는 직접 고용 2157명, 부품업체 1500명 등 총 3657명 감소가 전망된다. 직·간접 손실액 9760억원에 산업연관표 파급배수 2.5를 적용하면 지역 총생산은 약 2조44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지역 총생산의 14.3% 규모이다.
완성차 부문은 연간 62만대 생산능력 대비 설비 가동률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북미 현지공장으로의 물량 전환 압력도 높아진다. GGM은 캐스퍼 대미 수출 수익성 확보와 고용 확대 계획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부품업체는 1차 협력사 24곳에서 신규 투자 연기 및 희망퇴직이 발생할 수 있으며, 2차 협력사 276곳은 연쇄 부도 위험이 가중된다는 우려가 나온다. 물류·서비스업계는 평택항 자동차 물동량 감소로 하역·보관업 매출이 줄고, 운송 수요와 금융권 대출 건전성도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전남 여수국가산단 내 부품업체 30여 곳(고용 3000명)은 가동률 저하가 불가피하다. 율촌·목포 등 금속·세라믹 부품 산업도 수요 감소로 매출 축소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생산직 약 1500명, 부품직 약 1200명, 품질관리직 약 300명 등 직접 고용이 3000명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운송·정비·사무 등 간접 고용도 약 1657명 감소할 전망이다. 대졸 및 기능직 신규 채용이 전면 중단되고, 기술인력의 수도권 유출이 가속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방재정은 법인지방소득세 약 200억원 감소, 재산세·종합부동산세 세입 둔화, 고용보험 지출 증가와 보험료 수입 감소 등이 동반될 것으로 분석된다. 상생형 일자리 모델과 지역 균형발전 프로젝트 추진력도 약화될 우려가 있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정책금융 2조원을 확대 지원하고 고용보험기금을 활용해 일시휴직 지원 등 고용 유지를 도모해야 한다"며 "동시에 신남방·신북방 정책을 활용한 수출 다변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전기·수소·자율주행차 핵심 부품 연구개발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고부가가치 부품 국산화와 기업 공동 해외 진출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