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21 10:06
출력제어·원전 정지 누적 '212시간'
ESS 523MW 확보·송전선 다중화·차등 전기요금제 검토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전남의 재생에너지 확대 속도가 빨라지며 전력자립률이 200%를 넘겼다. 동시에 출력제어와 발전소 정지, 송전망 갈등이 겹치면서 계통 불안과 블랙아웃 위험이 정책 과제로 부상했다.
대통령실과 산업통상자원부·한국전력공사 자료에 따르면 전남의 전력자립률은 2023년 197.9%에서 2024년 206%로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200%를 웃돌았다. 같은 해 전남 태양광 발전량은 7087GWh(전국 1위), 풍력은 644GWh(전국 3위)로 집계됐다.
전력거래소와 한전 자료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는 2024년 대비 올해 3.6배 증가했다. 한빛원전은 70시간 이상 가동이 중단됐고 한울원전은 142시간 발전을 멈췄으며 두 원전의 정지 누적 시간은 212시간으로 나타났다. 발전 관련 보상·정산 비용은 전년 대비 220% 늘었고 발전사 부담 비중은 12.3%로 분석된다.
전력거래소 수요전망에 따르면 추석연휴 기간 최소 수요는 32GW 수준으로 예측됐다. 특정 시점에는 7GW 이상 하락해 계통 운영상 위험 구간에 근접했다. 대통령실은 14일 한전과 산업부에 블랙아웃 방지 대책 마련을 지시했으며 전력거래소는 16일 나주 본사에서 계통 비상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전남도는 6월 523MW 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확보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달에는 영광·무안·진도·고흥·광양·신안 등지에서 7개 ESS 건설사업이 승인돼 하루 최대 45만 가구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설비가 가시화됐다. 도는 약 9300명 고용 창출 효과를 제시했다.

한편, 신정읍~신계룡 구간 345kV 송전선 신설에는 250기 이상 송전탑 설치가 포함된다. 주민 반발과 환경 훼손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도권 송전 제약으로 전남에서 생산된 전력의 절반 이상이 원활히 이송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책 대안으로는 공급 측 대응과 수요 측 조치의 병행이 제시된다. 전문가들은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도입과 RE100 산업단지 조성, 분산자원 직거래 활성화를 언급한다. 전라남도는 ESS·스마트그리드 투자 확대를, 한전은 분산에너지법 기반 직거래를,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수요산업 유치를 통한 상시 수요 창출 방안을 추진·검토 중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추가 송전선 건설과 대체 경로 확보가 중장기 핵심 과제이며 ESS에는 기술·운영 한계가 존재한다"며 "차등 전기요금제와 수요반응(DR)·ESS의 통합 운영, RE100 산업단지 조성 등을 통한 수요 확대가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