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5.09.25 11:45

총리실 "투자 유보 의미 아냐" 해명

김민석 국무총리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김민석 국무총리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비자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한국의 대미 투자 프로젝트들이 불확실한 상태에 머물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25일 공개된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의미 있는 진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프로젝트가 완전히 중단되거나 공식적으로 보류된 것은 아니지만, 이(비자) 문제가 풀리기 전까지는 많은 인력이 미국에 신규 입국하거나 재입국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매체는 이에 대해 "지난 7월 무역협상에서 합의한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펀드에도 불확실성을 드리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과 미국은 이달 초 미국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벌어진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건 이후 비자 제도 개정을 위해 협의 중이다.

김 총리는 "미국과 투자를 약속한 3500억달러가 한국 외환보유액의 70% 이상에 해당하며,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 협정이 없으면 한국 경제는 심각한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진행 중인 협상의 구체적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한국에 중대한 재정 부담을 주는 합의안은 국회 승인이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협상이 내년으로 넘어가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한편, 김 총리 인터뷰가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미국에 투자는 불가하다'는 메시지로 해석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에 총리실은 "김 총리는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근로자들과 그 가족들이 미국 입국을 굉장히 꺼리는 상황임을 설명한 것"이라며 "투자를 유보한다는 의미의 발언을 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김 총리의 발언은 현재 조지아주에서 진행 중인 투자와 관련된 것"이라며 "한미 간 논의되고 있는 3500억달러 투자와는 무관한 내용"이라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