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광하 기자
  • 입력 2025.09.26 18:25
김현 국회의원. (사진=박광하 기자)
김현 국회의원. (사진=박광하 기자)

[뉴스웍스=박광하 기자] 롯데카드가 297만여명의 고객정보 유출 사태에도 불구하고 신규 고객 모집을 계속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김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경기안산을)는 롯데카드가 금융감독원에 해킹 사실을 신고한 1일 이후에도 웹사이트와 설계사를 통해 신규 고객을 유치하고 있다고 26일 지적했다.

롯데그룹 계열사인 롯데마트맥스는 롯데카드 결제 시 30%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며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 고객은 25일 롯데마트맥스 영등포점에서 "20일에는 없었던 이벤트를 갑자기 시행하고 있었다"며 김 의원실에 제보했다. 롯데카드의 이런 영업 행태는 지난 5월 해킹 사태 발생 후 신규 가입을 전면 중단했던 SK텔레콤과 극명한 대비를 보인다.

서버 해킹 사태로 롯데카드 회원 297만여명의 정보가 유출됐다. 이 중 28만여명은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2자리, CVC번호까지 노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롯데카드는 카드 재발급을 진행하고 있지만 신청이 폭주하면서 최대 100만명까지 대기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루 카드 생산 능력이 최대 6만장에 불과하고 배송도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현 의원은 "국민의 신뢰를 잃은 금융회사가 축소와 은폐에 급급하며 영업에만 몰두하는 것은 무책임의 극치"라며 "피해자 보호와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롯데카드의 허술한 개인정보·정보보안 관리 사항에 대해 최대 수준의 엄정한 제재가 이뤄지도록 할 방침을 밝혔다.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에 따르면 소비자 보호에 미흡할 경우 최대 6개월 영업정지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업계에서는 매출액의 최대 3%에 해당하는 약 800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본다.

롯데카드의 고객정보 유출이 2차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롯데카드 정보 유출 피해자가 유출된 카드번호 일부가 포함된 피싱 문자를 받는 사례가 확인된 것이다. 정보보호 업계에서는 유출된 개인정보가 피싱 범죄 조직에 넘어갔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