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0.01 13:40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1일 장철민·황정아·이재관 국회의원과 함께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의실에서 '현실적인 탄소중립 해법, 국가 NDC 달성을 위한 CCS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에서는 저장소 확보 시급성과 기술 상용화 기반 마련 필요성 , 두 가지 과제가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김병엽 지질자원연 자원탐사개발연구본부장은 'CCS 저장소 확보 전략'의 주제 발표에서, 최첨단 물리탐사선 탐해3호를 활용해 국내 대륙붕과 퇴적분지를 정밀 조사하며 CCS 저장소 후보지를 발굴한 성과와 가능성을 공개했다. 다채널 탄성파 탐사, 3차원 지질구조 영상화, 시추코어 분석을 통해 저장용량과 밀폐안정성을 검증하며, 대규모 저장소의 장기 저장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는 점과, 저장소 특성화 데이터베이스와 국가 차원의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다중 모니터링 기술을 고도화해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청사진을 제시했다.
신영재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는 CCS가 연간 480만 톤 감축 목표를 담당하려면, 2030년까지 최소 220만 톤 규모의 저장소가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3단계로 평가된 서해 군산분지에 빠른 시일 내에 신규 3D 탐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CCS가 연구 단계에 머물지 않고 실제 산업 단계로 확산되기 위한 방안도 제시됐다.
2021년 상업 생산을 마친 고갈 가스전으로, 국내 최초 4단계 사업부지로 선정된 울릉분지 내 동해-1 가스전 에 대해서는 하루 빨리 심부 시추와 주입 실증을 확대해 저장소 전환 모델로써 가능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동해 울릉분지는 상용화 체계 구축을 서둘러야 할 핵심 거점으로 논의되며 운영 표준과 안전 관리 기준 마련을 위해 함께 머리를 맞댔다.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은 "토론회는 CCS의 국내외 현황을 점검하고, 우리나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해법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KIGAM은 탐해3호와 축적된 연구 역량을 기반으로 저장소 탐사와 기술 상용화를 선도하고, 국가 NDC 달성과 2050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