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16.09.13 11:46
[뉴스웍스=최인철기자]서울시는 경주 지진과 관련해 서울시내 지상·지하 구조물을 전수 조사한다고 13일 밝혔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지진 방재 관련 긴급 브리핑에서 “지진방재 매뉴얼에 따라 서울지역의 지상, 지하 구조물을 전수 조사하고 기존 매뉴얼도 문제점이 없는지 재점검하고 보강해 나갈 것”이라며 “국민안전처 등 중앙정부와 긴밀히 공조해 필요한 조치를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지난 6월 ‘지진방재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주요 시설물의 내진성능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수도시설, 공동구, 시립병원, 수문 등 4종의 내진성능을 100% 확보하고 있으며 공공건축물, 도시철도, 도로시설물, 하수처리시설의 경우 내진성능 평가를 거쳐 단계적으로 보강한다.
올해 1월 기준으로 서울시내 공공시설물 5662곳 중 2579곳(45.5%)이 내진성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지진 발생 시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학교시설은 내진설계 대상 2971곳 중 성능을 갖춘 곳이 840곳(28.3%)에 불과했다.
도시철도 관련 시설물의 내진확보율은 교량이 45.0%, 터널이 77.7%, 건축물이 76.1%로 각각 조사됐다. 도로 시설물 중 교량·고가 등 지상 시설물은 357곳 중 262곳(76.1%), 지하차도 등 지중 시설물은 197곳 중 189곳(95.9%) 등이 내진성능을 갖췄다.
이에따라 서울시는 오는 2020년까지 5년간 5480억여원이 투입해 공공시설물 내진 성능을 보강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방세 감면 등의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는 등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해 민간 건축물의 내진보강도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