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5.11.14 17:51
(이미지=제미나이)
(이미지=제미나이)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오늘 한국인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이슈는 무엇일까요.

한국인 사용자들이 챗 GPT에게 가장 많이 물어본 관심 주제를 정치, 경제, 사회 분야로 구분해 봤습니다. 14일, 인공지능(AI)이 선정한 오늘의 키워드를 통해 통해 빠르게 변하는 세상, 놓치기 쉬운 이슈를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조인트 팩트시트 

정치분야에서는 '조인트 팩트시트'가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이 이날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한데 따른 것입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습니다.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은 기존 25%에서 15%로 내리기로 했습니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습니다. 

챗GPT엔 "한국이 핵추진 잠수함을 직접 건조하게 되면 군사적 균형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반도체 분야에서 '최혜국 대우' 보장이 어떤 의미가 있어?", "협상으로 북한 비핵화 프로세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등 궁금한 점이 많았습니다.

◆원/달러 환율

경제분야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이슈였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성 발언과 한미 양국의 '조인트 팩트시트' 발표로 큰 폭으로 하락한데 따른 것입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10.7원 내린 1457.0원에 마감했습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환율 안정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구두개입성 발언을 하자 1450원대 중반까지 수직낙하했습니다. 이후 공개된 한미 팩트시트에 '외환시장 안정' 항목이 별도로 담겼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환율은 1452.0원까지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이용자들은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성 발언'이 시장 환율에큰 영향을 주는 이유는 뭐야?", "외국인이 2조원 넘게 순매도했는데도 환율이 떨어진 건 어떤 요인이 더 강하게 작용한 거야?", "향후 환율 흐름은 어떻게 전개될까?"등 관련 질문을 했습니다.  

낙태 영상

사회분야에서는 낙태영상이 관심권이었습니다.

'총 수술 비용 900만원, 지옥 같던 120시간'이라는 제목의 영상으로 병원이 구소기소된 데 따른 것입입니다. 영상이 게시된 지 한 달 뒤, 보건복지부 요청으로 경찰 수사가 시작됐습니다. 경찰은 영상을 초 단위로 분석해 병원을 특정했습니다. 병원 측은 초기 "사산된 아이를 꺼냈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수사가 난항이었지만, 당시 병원을 찾은 다른 환자가 "아기 울음소리를 들었다"고 진술하면서 상황이 뒤집혔고, 원장과 집도의는 혐의를 인정해 구속 기소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울음소리가 "살아 있는 사람의 명확한 기준"이라며 살인죄 적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챗GPT엔 "의료진이 '사산'이라고 주장했지만 다른 환자의 증언으로 상황이 뒤집힌 데 대해 어떤 법적 판단이 내려질까?", "브로커를 통한 불법 시술 구조가 반복되는 이유가 뭐야?", "사건을 계기로 낙태·출산과 관련한 법과 의료 시스템이 어떻게 보완돼야 할까?" 등 관련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