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3.10.11 09:14

[뉴스웍스=유한새 기자] 청년도약계좌가 정작 청년들에게 외면받고 있어 전면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이 금융위원회 및 서민금융진흥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42만2000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목표인원인 306만명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으로, 목표인원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는 지난 6월 15일 코로나19 이후 사회경제적 변화가 청년들의 교육중단, 구직 어려움, 주거마련 지연 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청년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할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했다.
윤석열 정부는 청년정책을 상위 20대 과제로 포함했으며, '청년에게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을 목표로 국무조정실이 주관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청년도약계좌 운영이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한 청년들이 납입한 금액에 대해 3~6%에 해당하는 기여금을 정부예산으로 지원하고,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도 부여하고 있다.
6월에 출시한 청년도약계좌 월별 가입신청자 수는 6월 76만1000명, 7월 44만명, 8월 15만8000명으로 매달 급격하게 줄고 있다.
실제 가입은 가구소득 요건 확인 이후 가입자와 가구원의 소득조회 동의를 거쳐 신청한 은행에서 가입 가능여부 확인 후 가입할 수 있다.
출시 후 3개월간 실제 가입자 수는 6월 25만3000명, 7월 12만5000명, 8월 4만4000명으로 총 42만2000명으로 나타났다. 가입 신청자가 줄어든 만큼 실제 가입자 수도 매달 급격히 감소 추세다.
윤영덕 의원은 "글로벌 고금리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은행으로부터 최고 우대 금리를 받기 위해서는 급여이체, 마케팅동의, 자동납부 만기유지, 카드실적, 최초거래, 주택청약 등 은행별 까다로운 우대금리 조건을 충족시켜야되서 청년들이 가입을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초 금융위는 청년도약계좌를 올해 306만명이 가입할 것을 예상하며, 예산 3678억원을 편성했다.
지난 2021년 기준 청년 인구 약 1000만명 중 개인·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청년 약 470~500만명에서 청년희망적금 사례(총 287만명 가입) 등을 고려해 산출했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내년 예산안에서 금융위원회는 6056억원을 요구했지만, 정부안으로 4999억원이 반영돼 국회에 제출됐다.
윤영덕 의원은 "청년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이라는 좋은 취지를 바탕으로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했지만, 청년들을 위한 금융의 본질적인 고민 없이 탁상행정으로 설계됐다"며 "정책 취지에 맞게 다양한 상황에 놓여있는 청년들이 자산을 모을 수 있도록 청년도약계좌 제도를 전면 개편해야 한다"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