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5.27 13:21
"투명·예측 가능 무역·투자 환경 조성…안전한 공급망 구축"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한일중 공동기자회견에서 "오늘을 기점으로 3국 정상회의는 정상화됐고, 올해로 25주년을 맞이한 한일중 협력체제가 앞으로 더욱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제9회 한일중 정상회의를 마친 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격의 없이 진솔하게 협의하는 시간을 갖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세 사람은 3국 협력의 원동력이 국민들의 지지에 있다는데 공감하고 3국의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며 "3국 협력의 기반은 세 나라 국민들의 상호 이해와 신뢰"라고 강조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를 위해서는 자주 만나고 소통해야 한다"며 "우리는 2030년까지 연간 인적 교류 4000만명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특히 미래세대 간 교류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2025년과 2026년을 '한일중 문화 교류의 해'로 지정해 인적·문화적 교류를 더욱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우리는 무엇보다 3국 협력이 3국 국민들의 민생에 보탬이 돼야 하며, 국민들의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이를 위해 우리는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무역·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안전한 공급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나아가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 공중보건 위기, 초국경범죄에도 협력하면서 함께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한일중 3국 뿐만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 다른 국가들과의 협력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중 3국은 역내 여타 국가들과의 협력도 확대하기로 했다"며 "몽골과는 황사 저감 협력을, 아세안 국가들과는 캠퍼스 아시아·스타트업 육성, 지식재산 협력을 통해 역내 공동 번영을 모색할 것"이라고 했다.
한일중 정상회의를 정례적으로 열고 협력 제도화에도 나서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3국이 이러한 국민체감형 협력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3국의 협력체제가 보다 굳건해져야 한다"며 "우리는 3국 정상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하고, 3국 협력사무국의 활동을 지원하면서 3국 협력의 제도화를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은 "우리는 한일중 3국 간의 활발한 협력이 양자 관계는 물론 역내 평화와 번영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에 공감했다"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3국 공동의 이익이자 책임임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일중 3국 공통의 핵심 이익인 역내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북한이 오늘 예고한 소위 위성 발사는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국제사회가 단호하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서 채택된 공동선언은 우리 3국이 민생 증진과 역내 평화와 번영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며 "성공적인 회의 결과를 만드는 데 힘을 모아주신 두 분 총리님께 감사드린다. 성원해 주신 우리 3국의 국민 여러분께도 감사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