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4.06.24 11:43

"민주당 폭주 막기 위해 등원 결심"…추경호 원내대표 '직 사퇴' 표명

황우여(왼쪽 네 번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민의힘)
황우여(왼쪽 네 번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민의힘)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공전하던 국회 전반기 원 구성이 사실상 마무리됐다.

국민의힘이 24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더불어민주당이 여당 몫으로 남겨둔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수용하기로 했다. 22대 국회 출범 25일 만에, 국회법상 상임위원장단 구성 시한을 넘긴 지 17일 만이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7개 상임위 수용을 안건으로 부쳐 당 소속 의원들의 추인을 받았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 몫인 외교통일·국방·기획재정·정무·여성가족·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정보위 등 7개 상임위 위원장 선출이 이번 주 본회의에서 이뤄질 전망이다.

국민의힘의 상임위 '보이콧'도 해제될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은 앞서 지난 10일 야당 단독으로 본회의를 열어 법제사법·운영·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등 11개 상임위원장을 민주당의 몫으로 설정하고 국민의힘에게는 나머지 7개 상임위원장을 수용하라고 압박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몫으로 남겨둔 상임위원장을 국민의힘이 수용하지 않으면 18개 상임위 전체를 민주당이 모두 가져가겠다고 예고했다. 

국민의힘은 과거 관례에 따라 법제사법위·운영위를 반드시 국민의힘이 차지하려고 안간힘을 써왔지만, 야당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108석의 소수 의석으로는 이를 관철시킬 수 없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에 법사·운영위 등 11개 상임위원장 단독 선출 원점 재검토를 요구했다가 거절당하자 운영위원장만이라도 국민의힘이 맡는 안, 법사·운영위원장을 여야가 1년씩 번갈아 맡는 안 등 추가 협상안 등을 잇따라 제시했으나 민주당은 모두 거부했다. 

결국, 국민의힘 내부에서 '현실론'이 점차 세를 얻게 되면서 24일 이른바 '알짜 상임위'로 불리는 법제사법·운영·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를 민주당에 넘겨준 채 국민의힘 몫으로 민주당이 남겨둔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수용하게 됐다. 

지금까지 상임위 배분 문제를 두고 강경 대응을 하는 선봉에 섰던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원내대표 직 사퇴를 표명하고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추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도 민주당의 최근 행태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이 단독 개의한 법사위 회의장 광경은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는 지경이었다"고 쏘아붙였다.

그는 또 "정청래 법사위원장과 민주당 등 야당 법사위원들이 증인·참고인을 불러놓고 국회에 부여된 권한을 넘어 조롱, 모욕, 협박을 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웃고 떠들면서 지켜본 야당 의원 모두가 이 부당한 폭력의 공범들"이라며 "민주당 의원들이 보인 행태는 국회의원 지위를 이용한 갑질이자, 명백한 언어폭력이고, 인권침해 행위"라고 질타했다. 

추 원내대표는 전날 우원식 국회의장과 만나 상임위원장들에게 증인 선서 및 증언 거부 권리를 주지시키고, 증인에 대해 '10분 퇴장 조치'까지 명령한 정청래 법사위원장에 대해 '엄중 경고'를 해달라고 촉구했다"며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국민의힘 의총에서 결정되자 이처럼 추 원내대표가 견지해 온 대야 강경자세가 무색하게 됐고, 결국 추 원내대표의 직 사퇴로 이어지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