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11.28 12:10
"내년 성장률 1.9% 불확실성 높아"…총리설에는 "현재 업무 충실"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8일 한은 기준금리를 3.25%에서 3.0%로 0.25%포인트 인하한 것에 대해 "경기 하방 압력에 대응해 금리를 추가 인하하면서 환율 변동성 확대 시에는 정부와 함께 다양한 시장안정화 조치를 통해 관리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한은 기준금리는 지난달 3.50%에서 3.25%로 떨어진 뒤 이번에 3.0%로 추가 인하됐다.
이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4명이 인하 의견을 냈고, 장용성·유상대(부총리) 위원은 동결 소수의견을 냈다"며 "지난 10월 이후 대내외 많은 변화가 있었다. 소수의견이 나온 것처럼 인하와 동결 모두 장단점이 있어 어려운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시장은 이번 결정을 두고 '깜짝 인하'라 평가한다. 앞서 10월 금통위에서 6명 중 5명이 '향후 3개월 내 유지가 적절하다'는 견해를 내비쳤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3개월 포워드 가이던스는 '조건부'로, 시차에 관계없이 새로운 뉴스가 들어오면 바꾸는 것은 당연하다"며 "미국 대선에서 레드스윕(공화당이 행정부와 상하원 모두 장악)은 예상을 넘어간 면이 있고 3분기 수출이 물량 기준으로 격감했는데, 일시적인 요인보다는 수출 경쟁 심화 등 구조적 요인이 크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다만 "액수로 따지만 수출은 역사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향후 3개월 금리 예상에 대한 금통위원 의견은 반반으로 갈렸다. 3명은 3개월 후에도 금리를 3.0%로 유지해야 한다고, 나머지 3명은 3.0%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 총재는 "동결 의견의 3명은 중립금리 수준과 추가 금리 인하 여력을 고려해 인하 속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했고, 나머지 3명은 대내외 경제여건 뿐만 아니라 이번에 발표한 성장전망 자체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향후 경기 전망 변화에 따라 금리를 추가로 낮출 가능성을 열어두자고 했다"며 '조건부'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한은은 이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8월보다 0.2%포인트 하향 조정한데 대해 "내년 1.9% 성장률도 불확실성이 많다. 최대한 노력해서 예측한 숫자지만 내년 2월에 변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에 따른 성장률 부양 수준에 대해서는 "거시모델에 의하면 0.25%포인트 낮추면 성장률을 0.07%포인트 오르는 것으로 추정되나, 일시적인 것만 보면 안 되고 인하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국무총리 내정설에 대해서는 "경제상황이 녹록지 않은 만큼 한은 총재로서 맡은 바 현재 업무에 충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