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4.12.16 18:25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총으로 무장한 군인들이 유리창을 깨고 국회로 난입했다. 계엄령을 선포한 대통령은 탄핵 심판대에 오른다. 

이런 나라에 투자하고 싶은 사람은 단연 없을 것이다. 안타깝지만 2024년 대한민국에서 벌어진 현실이다.

연말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탄핵 정국은 그간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해 온 '밸류업 정책'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지난 3일 밤 계엄령 선포 뒤 4일부터 9일까지 4거래일 동안 코스피 지수는 5.58% 급락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안이 가결된 뒤 첫 거래일인 16일에도 지수는 또다시 하락했다. 

특히 개인과 외국인은 '계엄 쇼크'에 4일부터 13일까지 각각 6548억원, 1조7633억원을 팔아치우며 '패닉셀(투매)' 현상을 보였다.

탄핵안 가결에 따른 대통령의 직무 정지 조치로 정부와 금융당국이 주도적으로 추진했던 정책들도 무너질 위기다. 

현 정부의 핵심 사업으로 꼽히는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관련주들과 원전주들은 정책 추진에 대한 불확실성에 급락했고, 밸류업 공시에 나섰던 금융주들의 주가도 추락하며 계엄 후폭풍을 맞았다. 

밸류업 공시를 고민하던 기업들의 고심도 깊어졌다. 대통령의 직무 정지로 조기 대선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 속에서 섣불리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낼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날 거래소는 밸류업 지수의 특별 편입 종목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밸류업 우등생으로 꼽히는 금융주와 통신주들이 대거 포함됐다. 

앞서 발표한 밸류업 지수 종목이 논란이 되자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이 우수한 곳들을 추가해 상장 기업의 참여 의지를 북돋겠단 취지였다. 

그러나 탄핵 정국 속 밸류업 정책의 핸들을 쥔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면서 종목 추가 소식은 조용히 묻히게 될 공산이 커졌다.

탄핵 정국은 적어도 2~3개월 뒤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그럼에도 더 이상 정치적 이해관계가 증시를 쥐락펴락해서는 안 된다. 마치 끝없는 줄다리기를 이어갔던 여야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 논쟁처럼 말이다. 

정권이 유지되든 새로운 대통령이 탄생하든 한국 경제를 살리기 위한 '코리아 밸류업'은 차질 없이 나아가야 한다. 

대통령 탄핵안 표결에서 대다수의 국회의원은 "국가의 주인인 국민을 위해 탄핵안 표결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주식시장의 주인인 기업과 투자자들을 위해서도 여야 할 것 없이 조속히 머리를 맞대어 대응책 강구에 나서길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