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1.30 16:33

[뉴스웍스=박광하 기자] 중국산 인공지능(AI)인 '딥시크'(DeepSeek)가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혁신적 AI 기술·서비스 개발을 위해 규제 혁파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나경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서울동작을)이 30일 한국형 AI 혁신 모델 구축과 정보 주권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딥시크는 중국의 헤지펀드 회사 환팡퀀트(幻方量化) 소속 인공지능 연구 기업의 이름이자 이 회사에서 개발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다. 지난해 12월 발표한 딥시크 V3 모델은 챗GPT 등 기존에 공개된 LLM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여주면서 전 세계 AI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심지어 딥시크 V3 개발 비용이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 수준에 불과했던 것으로 알려지자, 많은 비용을 들여 고성능 인프라를 바탕으로 하던 AI 개발 풍토에 파란을 일으켰다. 그 결과 엔비디아 등 AI 관련주가 일제히 하락하면서 미 증시가 출렁이기도 했다.
나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딥시크 열풍의 배경에는 미국의 반도체 제재를 기회로 전환한 중국의 혁신 전략과 정부의 전폭적 지원이 자리하고 있다"며 "특히 AI를 국가 핵심 전략으로 규정하고, 기술 및 인재 양성에 막대한 투자를 단행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고 했다.
그는 "중국은 제한된 장비와 비용으로도 고성능 AI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며 "이는 한국도 해외 기술과 장비에 의존하기보다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한된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한국형 AI 혁신 모델'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나 의원은 "중국 정부의 전략적 지원 체계도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며 "과연 우리 정부는 AI 산업이 바라는 규제 개혁과 투자, 기술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 환경을 제대로 마련했는가"라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트럼프 2기 등 글로벌 경제·통상·안보 환경이 급변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우리 국민과 국익을 지킬 무기는 초격차 기술"이라며 "이를 위해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전제돼야 하며, 민주당이 반대하는 R&D 등 혁신전문직 예외조항인 '주 52시간제 화이트칼라 이그젬션'도 반드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 의원은 딥시크의 부상과 관련해 기술적 도전을 넘어 정보 편향성과 정보 주권 문제도 제기했다. 그는 "딥시크가 천안문 사태, 아편전쟁, 위구르, 티베트, 홍콩, 대만 문제 등 역사·사회 이슈에서 편향된 정보와 해석을 내놓는다는 우려가 많다"며 "편향된 세계관이 단순 검색 결과에 그치지 않고 AI 알고리즘을 통해 전방위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딥시크는 천안문 사태, 티벳 인권 탄압 등 중국 공산당의 범죄나 과오를 묻는 질문에는 "답변할 수 없다"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중국은 평화로운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식으로 사실을 제시하는 대신 답변을 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관한 질문에서도 "죄송하다. 답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났다"고 답변하거나 "중공의 훌륭한 지도자로서 중국의 발전과 민족의 부흥을 위해 헌신한 인물"이라고 소개하는 등 비판적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딥시크의 이 같은 답변 결과에 대해 업계에서는 중공의 감시, 관리 아래서 딥시크가 중공의 입장을 대변하거나 사실 왜곡을 저지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나 의원은 "AI 알고리즘으로 인해 전체주의적 세계관이 디지털 공간 전체를 장악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가 알고 있는 진실이 다른 버전의 진실로 덮이는 새로운 형태의 인지전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대한민국 건국과 6.25전쟁에 대한 정보와 해석도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며 "AI 기술 개발과 함께 우리의 가치와 진실을 지켜낼 법·제도적 장치 및 기술적 대응책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