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3.18 11:40
김 회장 불출석 사유 국회 기만 행위 지적…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 검증해야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국회 정무위원회가 긴급 현안질의를 진행했다. 증인으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김광일 부회장,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 강경모 홈플러스 입점협회 부회장 등 5명을 불렀지만 김병주 회장은 불출석했다.
이에 여야 의원들은 현안질의에 앞서 김병주 회장에 대한 청문회를 진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8일 정무위 긴급 현안질의에서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에 나서면서 피해가 늘어나 이번 현안질의를 마련했다. 현 사태는 MBK파트너스 책임이 가장 크다"며 "그러나 김병주 회장은 지난 11일 증인으로 채택했는데, 13일에 해외 출장 일정을 잡아 불출석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 의원은 "김 회장은 다른 상임위원회에서도 증인으로 채택되도 불출석한 적이 있다"며 "여야 간사가 협의해 김 회장에 대한 고발조치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국회 경시를 넘어서, 본인들 스스로가 국내 토종 사모펀드라고 강조해 놓고 국회 나올 생각도 없고, 피해자가 발생했는데 책임질 자세도 없다"며 "고발 조치는 당연히 이뤄져야 하고 향후 MBK파트너스를 대상으로 청문회도 반드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병덕 민주당 의원도 "홈플러스 인수 자금 7조2000억원 중 5조원을 외부에서 조달했다. 결국 자기자금은 2조2000억원만 투입했을 뿐 국민연금, 새마을금고 자금으로 인수했다"며 "이런 상황에서 선제적 구조조정이란 이름으로 3월 4일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해 10시에 재판하고 11시에 결정이 나는 황당한 재판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김병주 회장은 산자위 출석도 거부하고 정무위도 거부하고 있는데, 이번 사태를 명확히 밝혀내기 위해 MBK를 대상으로 따로 청문회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여야 의원들이 한 목소리로 청문회를 요청하는 이유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가 하루 만에 이뤄졌기 때문이다.
홈플러스는 지난 2월 28일 신용등급이 A3에서 A3마이너스로 강등돼 기업회생 절차를 진행했다. 그러나 언제부터 기업회생 절차를 진행했는지 객관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정치권 판단이다.
김현정 민주당 의원은 "보통 회생 절차를 준비하게 되면 법률대리인도 선임하고 회생 신청에 필요한 법적 절차도 진행해야 한다. 이에 통상 짧게는 1~3개월 준비한다"며 "그러나 홈플러스의 경우 2월 28일부터 3월 4일까지 4~5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는 누가 봐도 정상적이지 않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홈플러스 측에 변호사 선임 계약서, 3월 4일 이사회 의결 등 관련 자료 제출을 요청했다.
민주당 간사인 강준현 의원은 "고발 조치를 포함해 청문회 대책까지 포괄해 오늘 현안질의가 끝나기 전까지 결정했으면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간사인 강민국 의원도 "검은 머리 외국인인 김병주 회장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하늘을 찌른다"며 "부족하면 국정 조사까지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