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명수 기자
  • 입력 2025.04.03 13:39
중국 오성홍기. (출처=픽사베이)
중국 오성홍기. (출처=픽사베이)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 경제 버팀목인 수출에도 부담이 더해진 가운데, 일찌감치 보복을 다짐한 중국이 어떤 카드로 대응할지에 관심이 모인다.

미국은 올해 1월 '트럼프 2기' 출범 당시부터 중국을 상대로 무역 공세를 폈고, 2월 4일에 10%, 지난달 4일에는 별도의 10%의 보편 관세를 이미 부과한 상태다.

여기에 이날 발표된 34%의 추가 관세를 더하면 트럼프 대통령 취임 72일 만에 중국에 추가로 매겨진 관세율은 54%에 달하게 된다.

대선 전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해온 '대(對)중국 60% 관세 부과'에 근접한 셈이다.

'트럼프 1기' 시절 미국과 관세 전쟁을 벌인 바 있는 중국은 올해 2∼3월 트럼프 행정부의 '10+10%' 관세 부과까지 전면전보다는 핀셋식 보복에 집중하며 미국에 대화를 요구해왔다.  

하지만 미국의 이번 3차 관세 인상 발표가 나오기까지 미중 간 관세 전쟁 종전 협상은 공식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단 중국은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중국 상무부 역시 이날 대변인 명의 담화문에서 미국의 상호 관세에 '단호한 반대'를 표하며 "반격 조치를 취해 자기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했다.

미국의 관세 인상 표적이 전 세계로 넓어진 만큼 한국·일본·유럽연합(EU) 등 미국의 '우방'들과 공동 전선을 펴려 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최근 중국은 바이든 행정부 시기 한미일 3각 공조로 다소 불편해진 한국·일본과의 관계를 적극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특히 지난달 30일 서울에서 열린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3국 자유무역협정(FTA) 등 역내 경제 통합을 통해 다자무역 체제를 함께 수호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