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4.03 11:56
현대차그룹 10조 피해, 한국지엠 존폐 위험
철강도 美·EU 동시 관세 위협…경쟁력 '흔들'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25% 관세 부과가 3일부터 발효되면서 국내 자동차 및 철강 수출 기업들의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는 한국에 모든 수입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25% 부과하기로 했다.
단, 자동차와 철강 부문은 상호관세 대상에서 벗어나면서 자동차와 철강 부문에 매겨진 25%를 합해 총 50%라는 '관세 폭탄' 상황은 면하게 됐다. 하지만, 국내 자동차 업체들은 그동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관세 없이 수출해 온 만큼, 25%의 관세만으로도 큰 피해가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024년 기준 한국의 자동차 생산 대수는 413만대다. 이 가운데 수출 물량은 278만대로 67% 비중을 차지한다. 지난해 수출 물량 중에서도 미국 수출 대수는 143만대로 절반이 넘는다. 143만대 중 101만대는 현대자동차·기아가, 41만대는 한국지엠이 수출했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미국 수출용 자동차에 25% 관세가 적용되면 올해 전체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63억5000만달러(약 9조2000억원) 감소할 전망이다. KB증권 분석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미국 판매 대수는 지난해보다 6.3% 줄어든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미국에서 91만1000대를, 기아는 79만5000대 총 170만6000대(현지 생산 포함) 팔았다. 이 가운데 57%인 101만5005대(현대차 63만7638대·기아 37만7367대)가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됐다.
iM증권은 25% 관세 부과 시 현대차·기아 부담은 현대차 5조7000억원, 기아 4조원 등 총 1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했다.
한국지엠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한국지엠은 지난해 판매한 49만대 중 83%인 41만대를 미국에 수출했다. 트레일블레이저 등 주력 모델이 관세로 미국 현지에서 가격 경쟁력을 잃으면 철수설이 현실화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철강 부문도 관세 후폭풍을 피할 수 없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철강 수출량은 2835만411톤이다. 이 가운데 미국 수출량은 280만톤으로 전체의 10% 비중을 차지한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연합(EU)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심각한 것은 한국의 철강 수출 비중이 가장 큰 EU도 미국발 관세 영향으로 한국 초과 수출 물량에 대해 25% 관세를 물기로 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한국 철강사들은 EU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물량이 최대 14% 줄어들게 된다.
현대제철은 미국 철강 관세 대응 차원에서 현지 전기로 제철소 건립을 위해 총 8조5000억원의 비용을 책정한 상태다. 포스코도 미국에 상공정 투자를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경제안보전략태스크포스(TF) 회의를 소집해 자동차 등 미 정부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을 업종과 기업에 대한 긴급 지원대책을 범정부 차원에서 조속히 마련할 것을 지시한 상태다.
재계 한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이 31조원을 들여 미국 현지화 확대를 꾀하고 있지만, 수년의 시간이 필요한 만큼 그동안 관세 피해는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정부와 기업이 함께 피해 최소화 방안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美, 韓에 25% 관세율 부과…권성동 "野, 경제부총리 탄핵 철회하라"
- [美관세 후폭풍③] 현실화한 '트럼피즘' 위협…정부·기업 공동대응 시급
- 韓 관세 부담, 美 FTA 체결국 중 가장 높아…수출 경쟁력 '초비상'
- 美 상호관세 25%에 가격경쟁력↓…"대미 후속협상 주력" 관건
- 중국 "단호히 美 상호관세에 반격"…보복 본격화하나
- [특징주] 현대차·기아, 美 관세 악재에 '52주 신저가'
- 한덕수 "美 상호관세 협상 최선…다음주 車산업 긴급대책 발표"
- 美 상호관세 제외된 반도체…업계 일단 '안도', 불안감은 '증폭'
- 위기의 현대제철 도약 첫단추…9일 노사협상 재개
- 현대차·기아, 1분기 영업익 6.8조 '선방' 예고…2분기가 '분수령'
- 현대제철, 세계철강협회 '지속가능성 챔피언' 선정
- 근본부터 부실 한국지엠…'철수설' 자체보다 그 이유 주목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