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5.04.14 14:46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형사 첫 정식재판을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14일 오후에 열리는 재판에 출석하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들어서고 있다. (사진=뉴스1)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형사 첫 정식재판을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14일 오후에 열리는 재판에 출석하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들어서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14일 '내란 혐의' 첫 정식 형사재판에 출석해 혐의를 부인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는 이날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 전 대통령의 첫 공판을 열었다.

뉴스1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직접 모두진술에 나서 검찰의 공소장부터 지적했다. 윤 전 대통령은 "몇 시간 사건을 거의 공소장에 박아넣은 것 같은 걸 내란으로 구성했다"며 "참 법리에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저도 과거에 여러 사건을 하면서 12·12, 5·18 내란 사건의 공소장과 판결문을 분석했는데 이렇게 몇 시간 만에, 또 비폭력적으로 국회의 해제 요구를 즉각 수용해 해제한 몇시간 사건을 거의 공소장에 박아넣은 것 같은, 이런 걸 내란으로 구성한 자체가 참 법리에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헌재 탄핵 심판 과정에서도 일방적으로 수사기관 조사를 받으면서 진술한 게 많이 탄핵당하고 실체가 많이 밝혀졌는데 그게 (공소장에)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초기에 겁먹은 사람들이 수사기관 유도에 따라 진술한 부분들이 검증 없이 많이 반영됐다"고 지적했다.

삼청동 안가 모임에 대해선 문재인 전 정부 탓으로 돌렸다. 윤 전 대통령은 "내란 구성은 말이 안 되고, 지난 문재인 정부 시절 방첩사령부가 베테랑 수사관을 쫓아내고 전체 정보 수사 역량을 2분의 1로 감축하니 우리 군사 방산 정보 유출이 굉장히 취약한 상태가 돼서 대통령 취임하면서부터 방첩사 보강을 긴급 지시했다"고 강조했다.

문상호 전 정보 사령관 유임에 대해서도 "전 정부 시절 상당히 유능한 정보사 간부가 승진 못 하고 대령으로 남아 옷을 벗어야 하는 상황이 돼 아깝게 생각하고 준장으로 진급시키면서 직급에 따른 위계가 중요하다고 판단해 유임시킨 것"이라며 "계엄이나 비상조치 관련을 염두에 둔 발언 자체가 없다"고 일축했다.

계엄 준비를 위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임명했다는 점도 부인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이란 건 어떤 상황을 예정해서 늘 준비해야 하는 것"이라며 "그래서 합동참모본부 계엄과가 있고 매뉴얼이 있고, 여러 훈련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햄버거집 계엄 모의 가담 의혹을 받는 노상원 전 정보 사령관에 관해선 "전혀 아는 바가 없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이란 건 대통령이 결정하는 것"이라며 "대통령이 결정도 안 했는데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모르겠다"고 했다.

야당이 감사원장 탄핵소추안을 발의하지 않으면 비상계엄을 없던 일로 하자고 했다는 주장도 펼쳤다. 윤 전 대통령은 "(김 전 국방부) 장관에게 11월 27~29일에 이야기하면서 검사들까지는 모르겠지만 감사원장에 대한 탄핵안 발의도 굉장히 부담스러울 텐데 탄핵안 발의를 안 한다면 (계엄을) 그냥 없던 일로 하자고 하고 준비시켰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