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안광석 기자
  • 입력 2025.05.03 14:02

트럼프 일부 완화 조치에도 韓 부품업체 타격 불가피

울산항에서 수출용 자동차들이 선적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울산항에서 수출용 자동차들이 선적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자동차 부품에 부과키로 예고한 25% 관세가 3일(현지시간)부터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자동차 관세를 한시적으로 완화하기는 했으나, 한국은 미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큰 만큼 악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 행정부는 지난 3월 26일 발표한 포고문 대로 수입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를 미국 동부시간으로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3일 오후 1시 1분)을 기해 부과하기 시작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완성차 생산시설을 가진 자동차 제조업체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지난 4월 29일 포고문을 일부 수정했다. 내용인즉, 미국은 지난 4월 3일부터 오는 2026년 4월 30일까지 미국에서 조립한 자동차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관세는 1년간 면제한다. 내년 5월 1일부터 오는 2027년 4월 30일까지는 10%에 해당하는 부품에 관세를 면제한다.

그러나 미국이 최대 시장인 만큼 국내 부품업체들의 부담은 여전히 클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2024년 36.5%로 늘어난 상태다.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산 비중은 지난해 기준 6.4%로, 금액으로는 135억달러(약 19조원)에 달한다.

세부적으로 ▲배터리·모터 등 전동화 부품(30억달러) ▲섀시 및 구동축 부품(30억달러) ▲자동차용 전자·전기 부품(25억달러) ▲차체 및 부품(23억달러) ▲엔진 및 부품(13억달러) ▲자동차용 타이어 및 튜브(8억달러) 등이다.

지난 4월 3일부터 미국 수출 완성차에 25% 관세가 적용 중인 만큼, 가격경쟁력 하락으로 부품 수출 또한 위축될 수 있다.

자동차 업계 한 관계자는 "한국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도 미국 관세 부담에 시달리고 있기에 반드시 미국에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없다"며 "또 중국과의 패권 전쟁에서 부담을 느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방침이 완화하는 방향으로 또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절망적인 상황까지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