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5.07.31 16:57

"외국인 부동산 매입 규제·관리…주택시장 안정·국민 주거권 지켜낼 것"

'국민의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응TF' 위원장을 맡고 있는 권영진 의원이 31일 국회소통관 기자회견을 통해 "외국인 부동산 취득 관리법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원성훈 기자)
'국민의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응TF' 위원장을 맡고 있는 권영진 의원이 31일 국회소통관 기자회견을 통해 "외국인 부동산 취득 관리법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원성훈 기자)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국민의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응TF' 위원장을 맡고 있는 권영진 의원이 31일 국회소통관 기자회견을 통해 "외국인 부동산 취득 관리법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 위원장은 "오늘 오전 '국민의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응TF'는 외국인 부동산 실태를 점검하고 외국인들의 무분별한 부동산 매입으로 인한 부동산 시장 교란과 우리 국민들의 역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개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6·27 정부 대출 규제로 청년과 서민의 내 집 마련 기회가 차단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외국인은 여전히 아무런 장벽 없이 부동산을 사들이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많은 국민들이 허탈해 하고 계신다"고 말문을 열었다.

특히 "최근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에서만, 외국인의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이 16.2% 증가했다"며 "같은 기간, 우리 국민의 신청은 16.1%나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작년 말 기준 외국인 소유 주택은 이미 10만 채를 넘어섰고, 이 중 상당수가 서울 등 수도권에 몰려 있다"며 "더 큰 문제는 외국인의 투기성 매입이 시장 가격을 자극하고 거래 질서를 교란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계속해서 "이대로 가면 대한민국 국민은 집 걱정에 시달리고, 외국인은 소위 노른자 땅이라고 하는 좋은 입지에서 투기적 이익을 보는 기형적인 구조가 현실화 될 것"이라고 개탄했다.

권 위원장은 "부동산은 단순한 재산이 아니라 국가 영토, 안보, 국민 주거권과 직결된 문제다. 해외 주요국은 이미 단호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 위원장은 '해외 각국의 외국인 부동산 정책'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미국은 외국인이 미국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매도 시 매수인에 매매대금의 10%를 원천징수하고 있다. 또한 캐나다는 2027년까지 외국인의 대도시·인구 밀집지역 주택 매입을 금지하고 있다"며 "호주는 외국인이 주거용 부동산을 취득할 때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반면 우리나라만 여전히 규제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우리 부동산 시장에서 내국인과 외국인 간의 규제 격차로 인한 불합리한 문제를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위원장은 "'국민의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응TF'는 오늘 토론회를 계기로 외국인의 부동산 취득 요건을 강화하고, 취득·보유 및 양도 단계별로 규제하고 관리 하기 위한 방안을 담은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마련하고 8월 중에 당론 법안으로 추진하겠다"고 예고했다. 

그는 또 "이 개정법안에는 ▲외국인 부동산 매입·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구축 ▲외국인 부동산 거래 허가 신설 ▲국가기반시설이나 안보관련시설 인근 토지거래 특별관리 ▲실거주 의무 등 부동산 매입 외국인에 대한 의무 부과 등의 대책들이 전문가들과의 추가논의를 거쳐 담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민의힘은 외국인 무분별한 부동산 매입을 합리적으로 규제·관리하기 위한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해 역차별을 반드시 해소하고, 주택시장 안정과 국민 주거권을 지켜내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