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5.08.21 18:06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7회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7회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1일 "극단적 선택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범정부 자살 대책 추진 기구를 설치, 운영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제8회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사회적 재난으로 떠오른 자살에 대한 종합 대책을 보고 받고 이같이 밝혔다고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자살은 사회적 재난이란 관점에서 정책 패러다임을 전면 전환해야 한다"며 "예산과 인력 확충은 물론이고, 책임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서 범부처 전담총괄기구 구성을 포함한 자살예방 정신건강 지원 정책을 정교하게 만들어서 추진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 이 대통령은 "우리 사회 곳곳에 안타까운 죽음들이 참 많다"며 "몇 차례 산업재해 사망 얘기를 드렸는데, 그 외에도 자살 문제가 정말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고 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자살률 OECD 평균 2배를 훨씬 상회한다"며 "가장 최근 통계인 2023년 1만4000명 가까운 국민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 아마 작년, 올해는 더 많아졌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주요 국가들의 자살률이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과 달리 우리는 20년 넘게 OECD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며 "자살로 내몰린 국민을 방치하면서, 저출생 대책을 논하는 것은 명백한 모순이다. 국가의 책임을 방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규연 수석은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1위"라며 "2024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28.3명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우울증 등을 가진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치료비를 지원하고, 즉각적으로 위기 개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주문했다"며 "특히 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온라인 게시글 등에서 확인되는 자살 위험 징후를 신속하게 탐지해 대처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