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손일영 기자
  • 입력 2025.09.02 17:26
(왼쪽에서 여섯번째 부터) 홍원학 삼성생명 대표, 김철주 생보험협회 회장, 김종화 모범운전자회 회장, 김태선 국회의원, 김교흥 국회의원, 양두석 안실련 자살예방 센터장, 정점식 국회의원이 2일 열린 '2025 국회자살예방포럼 제8회 국제세미나'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생명보험협회)
(왼쪽에서 여섯번째 부터) 홍원학 삼성생명 대표, 김철주 생보험협회 회장, 김종화 모범운전자회 회장, 김태선 국회의원, 김교흥 국회의원, 양두석 안실련 자살예방 센터장, 정점식 국회의원이 2일 열린 '2025 국회자살예방포럼 제8회 국제세미나'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생명보험협회)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한국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높은 수준의 자살률을 보이는 가운데, 자살 예방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정부 부처 간 협력이 강화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국회자살예방포럼은 2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2025 제8회 국회자살예방포럼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포럼 공동대표인 김교흥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해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과 다수의 의원이 간사로 참여했다. 이어 랴오시청 국립 대만대학교 랴오시청 교수와 매즈 프리보르 주한덴마크대사관, 정선재 연세대 교수 등 자살 예방 전문가와 시민단체 대표들이 주제발표를 맡았다.

세미나 참가자들은 '자살 예방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주제로, 해외 사례를 통한 한국의 자살 예방 인프라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첫 번째 발표를 진행한 랴오시청 교수는 대만의 국가 자살 통계 인프라 구축 사례를 들며 자살 문제에 대한 조기 개입과 추적 관리 체계 구축 법제화를 제안했다. 대만은 2006년 자살률 급등을 계기로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 체계(NSSS)와 국가 자살 통계 인프라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랴오시청 교수는 "대만은 2019년 자살예방법 제정으로 사후관리, 유해 물질 접근 제한, 언론 보도 가이드라인 등이 법제화됐다"며 "부처 간 협력 기구를 통해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매즈 프리보르 참사관 역시 1980년대 덴마크의 세계 최고 수준의 자살률을 극복한 사례를 설명했다. 덴마크 역시 약물·가스 등 자살 수단 제한과 예방 클리닉 등을 운영해 자살률을 개선한 바 있다. 다만 치료 후 퇴원한 정신질환 환자의 자살률은 여전히 높은 것이 과제로 지적된다.

이에 프리보르 참사관은 "지난해 국가 자살 예방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퇴원 환자 사후관리 강화 등을 추진해 부처 간 협력과 법적·재정적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선재 교수는 한국의 고령층·청년 여성 등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자살 문제가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간 정부의 자살예방법 및 디지털 기반 조기 대응은 지역 격차와 예산 부족 등의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대안으로 근거 기반 및 지역사회 참여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임삼진 생명존중시민회의 상임이사는 해외 자살 예방 노력을 한국의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통령실 자살예방 전담기구 설치 필요성을 언급했다.

임 이사는 "한국의 높은 자살률 해결을 위해서는 범정부 차원의 자살대책위원회 설치가 필요하다"며 "부처 협력과 지역 중심 예방, 고위험군 지원을 통해 지속가능한 정책 추진이 과제로 제시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