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현준 기자
  • 입력 2025.09.10 08:57
현대모비스 영업부문장 악셀 마슈카 부사장이 9일(현지시간) 'IAA 모빌리티 2025' 전시장에서 전동화, 전장 핵심 부품 등을 중심으로 한 유럽 시장 공략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 영업부문장 악셀 마슈카 부사장이 9일(현지시간) 'IAA 모빌리티 2025' 전시장에서 전동화, 전장 핵심 부품 등을 중심으로 한 유럽 시장 공략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

[뉴스웍스=정현준 기자] 현대모비스가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에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할 혁신기술의 지향점을 공개하고, 글로벌 '톱3’ 부품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재확인했다.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모티브뉴스가 발표한 100대 부품사 순위 6위에 올라있다.

현대모비스는 9일(현지시간) IAA 2025가 막을 올린 독일 뮌헨 메쎄 옐로우 스테이지에서 ‘모비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영업부문장인 악셀 마슈카 부사장이 발표자로 나서 최근 유럽 및 글로벌 시장에서 모비스가 거둔 성과와 함께 모비스의 미래 기술이 글로벌 수주를 통해 현실화된 사례, 그리고 준비 중인 미래 기술 전략을 소개했다.

마슈카 부사장은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톱3로 도약하겠다는 우리의 비전은 명확하다”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우리의 행동방식이 그 추진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현대모비스는 ▲ 향상된 친환경 전동화 ▲ 최적화된 기능 통합 ▲ 차량 칵핏 내 사용자 경험 극대화를 선제적 연구개발과 제품 포트폴리오 구성의 세 가지 지향점으로 삼아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2009년부터 배터리시스템 사업을 시작해 현존하는 모든 친환경 차량의 BSA 포트폴리오를 보유 중이다. 이에 더해 전기차 대중화의 가장 큰 장벽으로 꼽히는 ‘안전성’을 확보할 배터리 신기술을 지속 개발하고 있다.

대표적 사례는 자체 개발한 ‘배터리 냉각 시스템’과 ‘소화약제 시스템’이다. 모비스는 BMS(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통해 배터리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내부 화학 반응에 따른 고열을 감시하면서, 동시에 듀얼 냉각 시스템으로 배터리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아울러 배터리셀 발화시 소화약제를 자동분사해 화재를 즉시 진압하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소프트웨어 기반 자동차(SDV) 시대 모빌리티 기업의 기술 역량은 차량 구조를 얼마만큼 스마트하게 통합해 단순화하느냐에 달려있다. 현대모비스는 전자식 조향(Steer-By-Wire)과 전자식 제동 (Brake-By-Wire), 독립형 후륜 조향(Rear Wheel Steering) 등 차세대 샤시 시스템 핵심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 혁신 과정에서 현대모비스가 주목하는 또 하나의 지점은 전장기술 융합을 통한 ‘Vision in Motion’(시각적 혁신기술) 이다. 현대모비스는 차세대 통합 디지털 칵핏(운전석)인 ‘M.VICS’를 매년 업데이트하고 있으며, 핵심 요소기술에 대한 글로벌 수주도 진행 중이다. 특히 홀로그래픽 AR HUD(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경우 글로벌 완성차와 협업을 통해 시장 출시를 눈앞에 두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시대가 본격화되던 2021년 IAA에 처음 참가해, 전동화 기술 종합 플랫폼인 ‘EV 스케이트보드’를 공개했다. 이는 유럽 최대 자동차 회사인 폭스바겐과 차세대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시스템 수주 성과로 이어져, 지난해 연간 최대 36만대 양산이 가능한 스페인 BSA 공장을 착공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를 통해 오는 오는 2033년까지 핵심부품 분야에서 글로벌 고객 비중을 4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