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5.09.29 17:26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되고 있는 가운데 28일 오전 서울 종각역 무인민원발급기에 이용불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뉴스1)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되고 있는 가운데 28일 오전 서울 종각역 무인민원발급기에 이용불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국가 전산망 복구율이 10%를 넘어섰다. 

2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국정자원 화재로 멈췄던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73개 서비스의 복구가 완료됐다. 복구율은 11.3% 수준이다. 

앞서 행안부는 이날 오전 9시 기준 복구된 서비스가 47개, 10시 55개, 정오 기준 62개라고 밝혔다. 4시간 만에 11개 서비스가 재개된 셈이다. 

29일 오후 4시 기준 가동을 재개한 서비스 목록. (자료제공=행정안전부) 
29일 오후 4시 기준 가동을 재개한 서비스 목록. (자료제공=행정안전부) 

오후 4시 기준 가동을 재개한 서비스는 행안부의 기록관리교육훈련, 강제동원자명부와 복지부의 ▲복지로 ▲모바일복지로 ▲사회보장정보 자료등록포털 ▲사회보장정보 통합업무 ▲사회보장정보 포털 등이다. 이밖에 과기부의 우편물류와 인터넷우체국 서비스 역시 가동을 시작했다. 

한편 전소된 7-1 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을 복구하는 데에는 한 달여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 온나라시스템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은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96개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 구축을 위해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구센터 입주기업의 협조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수요 급증에 따른 마비 우려가 제기된 우체국 우편·금융서비스는 이날 오전 우선 복구됐다. 국민들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정부24 서비스 역시 이날 오전 8시 30분부터 가동 중이다. 

지난 26일 오후 8시경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는 리튬배터리 이전 작업 중 발생한 화재로 전산장비 740대, 배터리 384대가 전소했다. 화재는 27일 오후 6시가 돼서야 겨우 진압됐다. 

정부는 이번 화재로 인한 전산망 복구 과정에서 신속성을 기반으로 투명성 역시 강화할 방침이다. 

김 차관은 "장애 관련 안내 문자 등을 악용한 스미싱 등 온라인 사기 예방을 위해 경찰청 등 관계 부처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번 장애로 불편을 드린 점 거듭 사과드리며, 신속한 복구와 안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