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29 13:42
전체 9.6% 불과…국민신문고·온나라시스템 재가동 시간 걸릴 듯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 이후 첫 평일인 29일 전국 각지에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화재 이후 나흘이 지났지만, 복구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국민들의 불편이 커지는 모습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 기준 국정자원 화재로 멈췄던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62개 서비스의 복구가 완료됐다. 복구율은 9.6% 수준이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복구된 서비스가 47개였음을 고려하면, 3시간 동안 15개 서비스가 다시 가동을 시작한 셈이다.
오후 12시 기준 가동을 재개한 서비스에는 과기정통부의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 ▲인터넷우체국(국제우편 접수 조회) ▲인터넷우체국(메인 홈페이지) 등과 조달청의 나라장터(대금결제) 등이 이름을 올렸다.
문제는 전소된 7-1 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이다. 여기에는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 온나라시스템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행안부는 이 시스템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해 복구하기로 했다.
이날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96개 시스템이 이전될 국정자원 대구센터를 직접 찾아 현장 점검에 나선다. 그는 "이번 장애로 국민 여러분 큰 불편 끼쳐 깊이 사과한다"며 "아직 복구되지 않은 시스템 대해서도 네이버와 다음을 통해 즉시 공지하고 매시간 안내하겠다"고 전했다.
지난 26일 오후 8시경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는 리튬배터리 이전 작업 중 발생한 화재로 전산장비 740대, 배터리 384대가 전소했다. 화재는 27일 오후 6시가 돼서야 겨우 진압됐다.
그러나 전산망 장애에 따른 혼선은 계속되고 있다. 이날 시민들은 각종 민원이나 증명서 등의 모바일 발급이 불가함에 따라 직접 주민센터를 찾고 있다. 또한 공무원들이 주로 사용하는 '온나라시스템' 역시 마비되면서 업무에 필요한 물품·서비스 구매, 인허가 등에서도 각종 지장이 발생하고 있다.
윤 본부장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복구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국힘 "국가 전산망 마비…대통령 직무 유기의 끝장판"
- 일부 복구에도 상당수 전산망은 '먹통'…월요일 '민원대란' 불가피
- 李대통령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송구…밤새워서라도 복원"
- 정부 "화재 전소 96개 시스템…대구 이전까지 4주 소요 예상"
- 윤호중 행안장관, 국정자원 대구센터 찾아 "이전작업 총력"
- 성일종 "국정자원 화재, 국가안보 테러로 규정해 철저 수사 필요"
- [출근길 브리핑-9월 30일] 국가 전산망 '마비' 혼선·부산 韓日정상회담·2031년까지 서울시 '31만 가구' 착공·추석 당일 교통정체 '절정'·끝판대장 오승환 '은퇴'
- 국가 전산망 복구율 11.3%…오후 4시 기준 '73개' 서비스 재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