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15.05.21 11:06
야, "사정 정국 조성" 반발...인사청문회 순탄치 않을 듯

박근혜 대통령이 21일 새 국무총리 후보자로 황교안 법무부 장관(58)을 지명했다. 지난달 27일 이완구 전 총리 사퇴 이후 25일만이다.
그동안 청와대와 정치권 등에서는 차기 총리를 놓고 '경제통 총리', '화합형 총리', '정치인 총리', '정무형 총리' 등 여러가지 얘기가 나왔지만, 박 대통령은 최종 황 장관을 선택했다.
현직 법무부 장관를 총리 후보자로 지명한 것을 두고 정치권과 사회 전반의 부정·부패와 비리를 근절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강한 의지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황 후보자는 2013년 2월 박근혜 정부 초대 내각 멤버로 출발해 2년 3개월 재직기간 동안 온화화하면서도 강직한 외유내강형 인물로 합리적인 리더십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때문에 황 장관은 그동안 국무총리를 비롯해 대통령 비서실장과 국정원장 등 주요 인사 수요가 있을 때마다 유력한 후보군으로 거론돼 왔다.
김성우 홍보수석은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황 내정자는 대구고검장, 부산고검장 등 검찰 내 주요 보직을 거쳤고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법무장관으로 직무를 수행해오면서 대통령의 국정 철학에 대한 이해가 깊고 사회전반의 부정부패를 뿌리뽑아 새 한국을 만들고 정치개혁을 이룰 적임자"라고 인선 배경을 밝혔다.
또한 "조용하고, 철저하고 단호한 업무스타일에 국정을 수행하는데 있어 현실적 인 어려움과 난관을 해결하는데 적임자라고 생각했다"면서 "지금 우리의 현실은 경제재도약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과거부터 지속돼온 부정과 비리, 부패를 척결하고 정치개혁을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성완종 리스트' 수사가 한참 진행 중인 상황에서 현직 법무부 장관을 총리 후보자로 지명한 것을 두고 사정 정국을 조성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특히 채동욱 전 검찰총장 내사, 통합진보당 강제해산 결정 등 주요 사안마다 정부 입장을 강력히 유지해 왔고, 박 대통령과 코드가 잘 맞는 각료로 분류돼 왔다는 점에서 사정 정국 조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야당은 벌써부터 사정 정국 조성이라고 반발하고 있어 국회 인사 청문회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황 후보자는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와 성균관대 법대를 나왔다. 사법시험 23회로 창원지검장, 대구고검장, 부산고검장 등을 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