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3.05.22 10:59
4대 은행 ATM. (사진=이한익 기자)
4대 은행 ATM. (사진=이한익 기자)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국민·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은행의 올해 사회공헌 지원액이 4개월만에 지난해 절반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월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의 공공적 성격을 강조한데 대해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호응한 결과로 풀이된다.

22일 김희곤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이 4대 은행의 지난해부터 올해 4월까지 분야별 사회공헌 활동 지원액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 1~4월까지 사회공헌 활동 지원액은 총 323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총 지원액 6136억원의 52.7% 수준으로 절반을 넘어선 것이다. 

은행별 올해 사회공헌 활동 지원액은 국민은행이 110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하나은행(817억원), 신한은행(772억원), 우리은행(53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공헌 활동의 분야별 지원 비율을 분석한 결과 서민금융에 대한 지원은 지난해 평균 46.2%지만, 2023년 1~4월까지 평균 69.2%로 23.0%포인트가 급증했다. 특히 신한은행은 76%까지 서민금융을 위한 지원에 투입했다. 

반면 환경에 대한 지원은 지난해 평균 0.45%, 올 1~4월은 평균 0.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의 공공적 성격 강조 이후 사회공헌 지원액이 크게 늘어나고 특히 서민금융 지원 비율이 크게 확대된 것은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호응한 것으로 분석되며 고무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은 사회공헌 지원 뿐만 아니라 은행의 공공성을 종합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사회공헌 지원확대를 유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의원이 지난 2월 대표발의한 '은행법'의 목적 조항에 '은행의 공공성 확보'를 반영하는 내용의 법 개정안은 지난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상정됐다. 향후 법안심사소위에서 논의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