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3.11.14 16:26

[뉴스웍스=유한새 기자] 증권사에서 금융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금융감독원이 직접 조치에 나섰다. 금감원은 내부통제와 리스크관리 문제가 회사의 이익과 직결돼 있다며 기존 시스템을 재검토하고 보완하라고 주문했다.
금감원은 14일 금융투자협회에서 '증권사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감사·준법감시인·최고위기관리자(CRO) 간담회'를 갖고 증권사의 금융사고 및 대규모 손실 사태 관련 리스크관리 및 내부통제 취약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사금융 알선과 문서 위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자금 횡령 등으로 사고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기존 내부통제 시스템이 새로운 유형의 금융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지 재검토하고 미비점을 보완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최근 일부 증권사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은폐 행위에 대해 전수점검을 진행 중인 만큼 금융사고 인지 시 즉시 보고해 줄 것을 주문했다.
금감원은 위법행위를 방조·은폐하거나 내부통제를 소홀히 했을 경우 감사, 준법감시인, CRO에게도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금감원은 기업금융(IB) 부문의 불건전 영업행위에 검사역량을 집중하고 내년에도 검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리테일 부문에서도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리스크관리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기라며 손실흡수능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투자대상 선정 시 엄격한 실사를 진행하도록 당부했다. 또한 대규모 미수금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관리해줄 것을 요청했다.
금감원은 "이사회와 감사위원회에 내부통제 취약 요인을 직접 설명하는 등 경영진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계획"이라며 "증권사 내부통제 실효성 제고를 내년도 주요 업무계획으로 선정해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