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6.26 14:00

[뉴스웍스=백종훈 기자] 손해보험협회는 서울경찰청, 치안정책연구소, 도로교통공단, 티맵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 고의 교통사고 보험사기를 예방하고 안전한 교통문화 정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고의교통사고 다발 지역 식별 ▲내비게이션 앱 음성 안내 서비스 ▲도로의 노면 색깔 유도선 설치 등 시설개선 ▲고의사고 집중단속 및 엄정 수사 ▲고의사고 피해자 구제를 위한 지원 및 홍보사업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손보협회는 보험사기 알선·권유행위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하고 각종 미디어 홍보를 통해 '보험사기는 반드시 적발되며 처벌은 무겁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계획이다.
손보협회 관계자는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자동차 보험사기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데다가 그에 대한 사회적 비용도 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사후적 대응이 아닌 사전 예방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의 교통사고 보험사기는 교통안전과 법질서를 위협하고 일반 국민들의 보험료 부담을 가중하는 등 공동체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불법 행위"라고 덧붙였다.

김종철 서울경찰청 생활안전교통부장은 "고의 교통사고 보험사기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일반 국민들의 보험료 부담을 가중하는 등 공동체를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라며 "범죄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함께 이번 협약에 참여한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과 적극 협력해 안전한 교통문화를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자동차 보험사기 적발 금액은 지난해 기준 5476억원으로 전년 대비 771억원(16.4%) 증가했다. 이중 허위 사고와 고의사고는 각각 11.0%, 3.0%씩 늘었다.
관련기사
- "보험사기 해도 약식·집행유예…대법원, 양형기준 설정"
- 금감원 지난해 보험사기 제보 4414건…포상금 20억 지급
- "보험사기 뿌리 뽑자"…금감원·경찰청, 보험범죄 수사협의회 개최
- "보험사기 당했는데 교통사고 가해자"…금감원, 4월부터 피해자 구제 나서
- 보험사기 적발액 1조1000억…금감원·자배원·렌터카조합 조사 강화 MOU
- 작년 보험사기 적발액 1조1164억원…車보험사기가 절반
- 금감원, 보험사기 등 민생침해 범죄 집중 점검
- 금감원, 車보험사기 155명 적발…혐의자 상당수 '2030 무직'
- 금감원 "보험계약 체결 전 고지의무 지켜야 보험금 수령"
- 금융위,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시행 앞두고 준비현황 점검
- "보험사기 꼼짝마"…금융당국, 보험사기 조사권 강화
- 금융당국·보험업계, 9월까지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집중 홍보
